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노후 석탄발전기 폐지가 시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김성환 장관이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를 방문하여 추진 중인 노후 석탄발전기 폐지 현황과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하는 행보를 보였다. 이번 방문은 단순한 설비 점검을 넘어, 기후 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청정 전력 전환이라는 정부 정책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정부의 이번 발표는 특히 태안석탄 1호기의 폐지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 발전기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석탄발전 폐지 사례가 될 예정이며, 오는 12월 가동을 공식적으로 종료할 계획이다. 이는 오랜 기간 국가 에너지 공급에 기여해 온 석탄 발전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자리 문제에 대한 우려 또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일자리 상실 없는 전환’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태안석탄 1호기 폐지로 인해 발생하는 총 129명의 발전 인력은 원활하게 다른 발전소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서부발전 본사 소속 65명의 인력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한전KPS, 금화PSC, 한전산업개발 등 협력업체 소속 64명의 인력은 태안 지역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각각 이동 배치되어 고용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인력 재배치 계획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구성원들의 생계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보여준다.
동시에 정부는 발전소 운영 및 폐지 과정에서의 산업 안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 6월 2일 발생했던 고 김충현 씨의 산업재해와 같은 비극적인 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해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을 병행하고 있는 것이다. 사고 발생 이후 정부는 민주노총과 고용안정 협의체를, 한국노총과는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구성하여 현장의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지속적인 노사정 협의를 이어 나가고 있다. 이는 발전 산업 현장에서 일하는 모든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김성환 장관은 이러한 현장 방문을 통해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은 기후 위기에 대응한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을 통해 일자리도 반드시 지킬 것이라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알리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산업재해를 철저히 예방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며, 에너지 전환과 안전 관리라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노후 석탄발전기 폐지는 단순한 에너지 정책의 변화를 넘어, 기후 위기 시대에 부합하는 지속 가능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