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의 고래고기 식당은 단순한 음식점을 넘어, 격동의 산업화 시대를 살아온 이들의 애환과 향수를 담고 있다. 사라진 포경 산업과 고된 생업, 추억 속 포경선의 기억은 고기 한 점에 녹아들어 과거를 애도하고 회상하는 특별한 의례로 이어진다. 장생포의 고래는 더 이상 볼 수 없지만, 고래고기는 여전히 이곳의 역사를 증언하며 도시의 기억을 되새기고 공동체의 미래를 준비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바다는 예로부터 장생포를 고래들의 풍요로운 보금자리로 만들어 주었다. 수심이 깊고 조수차가 적으며 다양한 강에서 흘러오는 풍부한 먹이는 고래들에게 안성맞춤인 환경을 제공했다. 특히 ‘귀신고래’라 불리던 고래들이 이곳을 자주 찾아오며 장생포는 명실상부한 고래들의 천국이 되었다. 이러한 천혜의 자연 조건 덕분에 장생포는 수심 깊은 바다에 대형 선박을 접안하기 용이했으며, 이는 곧 포경 산업의 번성으로 이어졌다. 당시 장생포의 경제적 풍요로움은 ‘개가 만 원 지폐를 물고 다녔다’는 말로 표현될 정도로 대단했다. 수출입 물품을 실어 나르는 대형 선박들이 즐비했으며, 6~7층 높이의 냉동 창고들이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형성했다.
이러한 번영의 이면에는 산업화의 그림자도 존재했다. 1973년 양고기 가공 업체인 남양냉동이 들어섰고, 이후 1993년에는 명태, 복어, 킹크랩 등을 가공하는 세창냉동으로 바뀌었으나, 경영 악화로 10년도 채 안 되어 문을 닫았다. 폐허가 된 냉동 창고는 2016년 울산 남구청에 의해 매입되었고,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로 새롭게 개관했다. 6층 규모의 문화창고는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 등 지역 문화 예술인들의 거점 공간이자, 특별 전시관, 갤러리, 미디어 아트 전시관 등을 갖춘 복합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이곳에서는 ‘에어장생’이라는 고래 캐릭터를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과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와 같은 미디어 아트 전시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문화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수십 년 된 냉동 창고의 문을 그대로 살려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로 활용하는 것은 폐허를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시킨 업사이클링의 좋은 예시이다.
문화창고 내 2층에 자리한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장생포의 또 다른 역사를 보여준다. 정유, 석유화학, 자동차, 조선 등 중화학공업의 중심지였던 울산석유화학단지의 성장은 대한민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 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1980년대 조성된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집중된 제련소,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배출된 중금속은 주민들에게 ‘온산병’이라 불리는 중금속 중독 증상을 야기했다. 이처럼 과거의 산업 발전 이면에는 희생과 아픔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이 전시 공간은, 과거의 잘못에서 배우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야 함을 강조한다.
장생포의 고래잡이 산업은 1946년 최초 조선포경주식회사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으나,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100년도 안 된 역사를 뒤로하고 막을 내렸다. 그러나 장생포에서는 여전히 ‘고래고기는 장생포에서 먹어야 제맛’이라는 말이 회자될 정도로 고래고기가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고래요릿집은 혼획된 밍크고래 등 합법적으로 유통되는 고래고기를 판매하고 있으며,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여전히 사람들의 욕망 대상으로 만든다. 12만 원짜리 ‘모둠수육’은 육고기와 흡사한 비주얼을 자랑하며, 삶은 수육과 생회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구성은 놀라움을 선사한다. 살코기, 껍질, 혀, 염통 등 다양한 부위는 고래고기 특유의 풍미와 식감을 자랑하며, 특히 ‘우네’라 불리는 가슴 부위와 ‘오배기’라 불리는 배 쪽 기름층과 살코기가 겹겹이 붙은 부위는 고급 별미로 꼽힌다. 비록 과거의 좋지 않은 기억을 가진 이들도 있었지만, 부위마다 다른 조리법과 소스를 곁들여 먹는 재미는 잊을 수 없는 미식 경험을 선사한다.
장생포의 고래고기 식당은 단순한 식사 공간을 넘어, 사라진 산업과 생업, 포경선에 대한 향수를 담아내는 애도의 공간이다. 고래로 꿈을 꾸었던 어부들, 고래 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피란민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의 이야기가 녹아있는 문화적 지층이 바로 이곳에 존재한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고래고기는 그 기억을 이어받아 과거를 되짚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힘을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