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비 심리 위축과 내수 경제 부진이라는 문제는 많은 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큰 어려움을 안겨주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소벤처기업부가 주도한 ‘9월 동행축제’가 약 6634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성공적인 해결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9월 30일까지 진행된 이번 동행축제는 내수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증진이라는 두 가지 핵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전국적인 소비 촉진 행사로 기획되었다. 특히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함께 되살아나는 소비 분위기를 확산시키기 위한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채로운 이벤트가 마련되어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은 총 630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2만 7000여 개사가 참여한 이번 온라인 판매전은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진행되었다. 특히 롯데온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동행축제의 대표적인 온라인 판매 채널로 자리매김하며 주목받았다.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6700만 원)의 매출 증가를 기록했으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 역시 13배(6200만 원) 이상 매출이 늘어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도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 대표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327억 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하며 내수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전국 144곳에서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이 운영되었으며,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 및 소비자 접점을 넓히기 위해 해당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린 점이 특징이다. 전체 행사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지역이 24%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힘썼다. 제주 개막식에서는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이틀간 진행된 판매전에서는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해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해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온누리상품권 증정 이벤트를 통해 대기업,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적 유통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또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도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에서 5만 원 이상 카드 결제 시 추첨을 통해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방식이었다. 7개 TV홈쇼핑사는 상생기획전과 경품 이벤트, 적립금 추가 적립 등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했으며, 7개 카드사 역시 백년가게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이용 소비자들에게 캐시백과 할인 혜택을 강화하며 골목상권 활성화에 앞장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할인 쿠폰을 발급했으며, 집중호우 피해 지역 30여 곳의 가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추가로 제공하여 지역 상권 회복을 지원했다.
이러한 ‘9월 동행축제’의 성공은 온 국민의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 희망의 불씨를 지피고, 나아가 우리 경제에 힘찬 숨결을 불어넣었음을 보여준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언급하며, 다가오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비 활성화 정책을 통해 경제 침체라는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