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 시원함을 선사하는 대표적인 디저트인 빙수에 대한 향수가 짙어지고 있다. 특히 과거 방송가의 ‘납량특집’과 함께 여름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던 빙수는 단순한 더위 해소 음식을 넘어, 시대를 초월하는 추억과 감성을 담고 있다.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에서 10원짜리 주물 빙수기계로 만들어 먹던 추억이나, 제과점에서 맛보던 고급스러운 팥빙수와 후루츠칵테일 빙수는 현재의 화려한 빙수와는 또 다른 특별한 맛으로 기억된다. 이러한 빙수는 90년대 이후 눈꽃 빙수의 등장과 함께 사계절 별미로 진화하며 빙수 왕국 시대를 열었지만, 그 뿌리와 진정한 매력은 여전히 우리 곁에 존재한다.
과거 여름철 더위를 잊게 하던 빙수의 매력은 그 제조 과정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십 원짜리 추억의 빙수는 주인이 아이스박스에서 꺼낸 얼음을 수동 빙수기계에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 날카로운 칼날에 깎인 얼음이 수북이 그릇에 담기는 광경만으로도 군침을 돌게 했다. 여기에 색소가 든 시럽을 뿌려 내어주면, 합판으로 만든 탁자에 앉아 먹는 그 맛은 특별할 수밖에 없었다. 시내 제과점에서 파는 팥빙수나 후루츠칵테일 빙수는 우유와 연유를 더해 곱게 간 얼음이 입안에서 부드럽게 녹아내리며, 고급스러운 맛을 선사했다. 산처럼 쌓아 올린 얼음이 금세 무너지는 모습은 마치 북극 빙하가 녹는 듯한 묘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시간이 흘러 90년대에 들어서며 ‘눈꽃 빙수’가 등장했고, 이는 여름에만 국한되던 빙수의 인식을 사계절 별미로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빙수 전문 카페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호텔에서는 수십만 원에 이르는 고급 빙수를 경쟁적으로 선보이며 빙수는 명실상부한 ‘빙수 왕국’을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이 화려함 속에서도 진정한 빙수의 고향이자 특별한 가치를 지닌 곳은 바로 부산이다. 부산의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 등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될 정도로 빙수에 대한 시민들의 사랑이 깊다.
부산이 빙수의 도시로 불리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어로 활동이 활발한 부산의 지리적 특성상 생선을 얼리기 위한 얼음 사용이 많았고, 이는 자연스럽게 빙수 문화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더운 날씨는 시원한 빙수에 대한 절실함을 더했을 것이다. 부산의 빙수는 화려한 고명보다는 팥을 푸짐하게 얹는 것이 특징이다. ‘할매 빙수’라는 이름에서 느껴지는 푸근함처럼, 부산식 빙수는 소박하고 담박하지만 넉넉한 정을 담고 있다. 너무 달지 않은 팥은 얼음 위로 수북이 얹혀 간식이나 디저트를 넘어 한 끼 식사로도 손색이 없는 든든함을 선사한다. 얇게 깎아 사르르 녹는 ‘눈꽃 빙수’의 원조가 부산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많은 이들이 사랑하는 것은 이러한 부산 특유의 소박하고 투박한 ‘할매 빙수’다.
이는 먼 타국에서 한국의 냉면을 즐기기 위해 수 시간을 운전하는 친구의 이야기에서도 엿볼 수 있다. 그는 한국에서 빙수를 먹으며 겨울이면 한강에서 얼음 부역을 하던 조상들의 기억을 떠올린다. 과거 조선시대에는 여름 얼음이 궁에서나 볼 수 있는 귀한 존재였으며, 일반 서민들에게는 상상 속의 물체였다. 강가에 위치한 서빙고, 동빙고에 저장되었던 얼음은 주로 왕실에서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는 냉장고 역할을 했다. 이처럼 얼음의 귀함을 이야기하는 옛 이야기를 들으면,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빙수가 얼마나 특별한 존재였을지 실감하게 된다. 여름의 끝자락, 진정한 빙수의 매력을 맛보기 위해 부산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무거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