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라는 단어는 듣는 이에게 깊은 불안감을 안겨준다. 개인의 기억력과 인지 능력을 점진적으로 앗아가며,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를 고통 속으로 몰아넣는 무서운 질병이기 때문이다. 사회 전체의 급속한 고령화는 치매 문제를 개인의 질병을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만들고 있다. 2025년 현재, 97만 명에 달하는 노인 치매 환자는 앞으로 20년 뒤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등, 치매는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모두의 현실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 하에,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2011년 「치매관리법」이 제정되었으며, 이를 기념하는 ‘치매극복의 날’이 매년 9월 21일로 지정되었다. 올해로 제18회를 맞은 치매극복의 날은, 국가가 치매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관리해야 하는 필수적인 시점임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치매 극복을 위한 국가의 노력은 지역 곳곳에 설치된 256개의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이들 센터는 치매를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넘어 지역 공동체, 나아가 국가가 함께 풀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치매 환자와 그 가족들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앙치매센터 누리집(nid.or.kr)은 ‘치매가 있어도 살기 불편하지 않은 나라,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치매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제18회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전국 지자체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 인식 개선과 예방, 그리고 극복을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개최되었다.
특히, 지역 거점 치매안심센터에서 시민들이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기억을 톡톡(talk talk) 토크콘서트’와 ‘치매극복 4행시 짓기 이벤트’는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치매, 혼자는 두렵지만 함께라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라는 4행시 수상작은 치매를 개인의 고통으로만 여기는 대신, 가족, 공동체, 그리고 국가의 지원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지역 공공병원 협력 의사가 참여한 토크콘서트에서는 치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유익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강연자는 드라마 등에서 보여지는 심한 치매 사례와 달리, 실제 치매 환자의 대다수는 경증이며 약물 치료를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더불어 치매 진행 과정이 시간, 장소, 사람 순서로 나타난다는 점,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점, 그리고 치매가 암보다 흔하다는 사실 등은 치매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치매안심센터는 이러한 교육과 더불어 치매 관련 상담, 조기 검진, 그리고 치매 환자 등록 시 치료 관리비 지원 등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따라서 치매가 의심되는 가족이 있다면, 당황하기보다는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최우선으로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매는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이다. 치매안심센터와 같은 국가적 관리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개인의 정확한 정보 습득과 인식 개선 노력을 병행한다면,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은 더 이상 꿈이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