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남편의 존재 자체가 아내에게 스트레스 요인이 되어 심각한 부부 갈등을 야기하는 문제가 한국 사회에서도 심상치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성격 차이, 경제 문제, 외도를 넘어 중년 및 황혼 이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미 고령 사회를 경험한 일본에서 ‘남편재택 스트레스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던 현상이 우리에게도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1990년 14%에 불과했던 전체 이혼 건수 중 혼인 지속 기간 20년 이상인 중년·황혼이혼의 비율이 2023년에는 23%로 증가했다. 한국 역시 지난 이십수 년간 꾸준히 낮아져 온 전체 이혼율 추세 속에서, 중년·황혼이혼의 비율이 1990년 5%에서 2023년 36%로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퇴직 후 부부 갈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이는 현역 시절 서로 분리된 세계에서 살아온 부부가 갑자기 퇴직으로 인해 매일 함께 집에 머물게 되면서 발생하는 필연적인 결과로 분석된다. 남편의 사소한 생활 습관이나 성격이 아내에게는 더 이상 견디기 힘든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우울증, 고혈압, 공황장애 등 다양한 건강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퇴직한 고위직 공무원의 수기에서는 ‘집에 들어서기가 무섭다’는 표현이 등장할 정도로, 아내의 눈치를 보는 상황이 정신적인 고통을 야기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으로, 퇴직 후 낮 시간 동안 부부가 각자의 시간을 의식적으로 확보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단순히 집에 머무르며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수입을 얻는 일, 사회공헌활동, 혹은 취미 활동 등 자신만의 의미 있는 시간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본의 노후설계 전문가들은 ‘낮에는 집에 없는 남편’이 가장 인기 있는 남편 유형이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적극적인 사회 참여와 개인적인 시간을 통해 부부간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부부 화목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역설하고 있다. 한 고위직 공무원은 주간노인보호센터에서 하루 5~6시간 일하며 월 70만 원의 수입과 건강보험료 30만 원을 절감하는 활동을 통해, 이전과는 달리 ‘천사로 바뀐 아내’를 맞이할 수 있었다는 경험을 들려준다. 이는 경제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집에 있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결론적으로, 퇴직 후에는 노후자금 마련만큼이나 부부 화목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부부는 낮 시간 동안 각자의 시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수입 활동, 사회공헌, 취미 활동 등 무엇이든 좋다. 중요한 것은 퇴직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가피한 동거 생활 속에서 서로에게 스트레스 요인이 되기보다는, 각자의 삶을 충실히 영위하며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남편재택 스트레스 증후군’이나 중년·황혼 이혼이라는 비극적인 현실을 예방하고, 보다 조화로운 부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