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9%로 상향 조정하며, 내년에는 1.8%까지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소폭 상승한 수치로, 한국 경제가 잠재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다. 기획재정부는 IMF가 10월 14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상향 조정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상존함에도 불구하고,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평택항에 늘어서 있는 모습에서 엿볼 수 있듯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 향상과 달러 약세 등 긍정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지난 전망보다 0.2%p 높였으며, 내년에는 3.1%를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 흐름 속에서 한국 경제 역시 0.9% 성장을 전망한 것이다.
특히 IMF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1.8%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며, 이는 올해 대비 상당한 폭의 상승이다.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한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지난 전망보다 0.1%p 상향 조정되었으며, 내년 역시 1.6%로 유지되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성장률 전망치가 0.1%p씩 상향 조정되어 각각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 신흥개도국 그룹은 올해 성장률을 4.2%로 지난 전망보다 0.1%p 높였고, 내년은 4.0%를 유지했다.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이 무역 불확실성 및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와 4.2%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IMF는 긍정적인 전망도 함께 내놓았다.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화하며, 특히 AI 도입으로 생산성이 향상될 경우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한국 경제가 직면한 어려움 속에서도 혁신과 구조적 개선을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