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으로 레벨업’이라는 목표 아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게임의 질적 향상을 넘어, 게임을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중요한 기회로 재인식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행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월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이 운영하는 복합 문화 공간인 ‘펍지 성수’를 방문해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이러한 논의를 본격화했다.
이번 간담회는 게임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마인드 셋을 바꿀 필요성에 대한 절실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번 현장 간담회가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 및 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 시작 전,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게임의 잠재력에 대한 깊은 관심을 드러냈다. 그는 “다른 사람의 세계도 볼 수 있는 것이냐”, “이 세계에서 차 하나를 사려면 몇 시간 일해야 되느냐” 와 같이 게임의 구현 방식과 현실 경제와의 연관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질문하며, 게임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사회경제적 파급력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 비전을 제시하며, 그 핵심 동력으로 게임 분야를 지목했다. 그는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적 관점에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게임을 둘러싼 사회적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을 극복하고, 게임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야 한다는 문제 해결의 방향을 명확히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게임 산업의 발전 과정에서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과 관련된 요구는 또 다른 난제로 떠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더불어 고용된 노동자들이 혹여라도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정책 판단의 핵심 과제로서, 양측의 의견을 모두 균형 있게 반영하여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어진 비공개 토의에서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주변국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AI 기술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시킬 기회가 생기고 있다며, 산업으로서의 게임 진흥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욱 넥슨 대표는 게임이 전략 품목이 되어야 하며,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해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작은 규모의 지원이라도 보다 많은 팀에게 제공될 때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의 문제, 문화콘텐츠 수출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및 멀티 유즈 활용 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을 나누며, 지원 확충과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게임 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이 더욱 명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