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이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에 직면하며 그들의 생존마저 위태로워지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 열매를 맺게 하는 등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도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곤충들은 급격한 기온 상승과 서식지 변화로 인해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이는 곧 지구 생태계 전반의 위기를 의미한다.
지난 9월 7일, 곤충의 날을 맞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개최된 특별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은 이러한 곤충의 현실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전시에서는 약 4억 년에 걸친 곤충의 역사와 진화 과정을 소개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다양한 환경 변화에 적응해온 곤충의 놀라운 적응력을 조명했다. 하지만 전시의 핵심은 기후변화 앞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지는 곤충들의 모습이었다.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를 넓히거나 축소하며 생존에 성공하는 종도 있지만, 많은 곤충들은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설 자리를 잃고 개체 수가 급감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먹그림나비와 푸른큰수리팔랑나비처럼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는 종이 있는가 하면,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처럼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해 생존 위기를 겪는 종도 있다. 특히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감소하며 멸종 위기에 처했고,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의 감소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이는 등 멸종 위기종에게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곤충의 변화는 인류에게 보내는 명백한 경고 메시지인 셈이다.
전시는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이 온실가스 배출임을 명확히 지적한다. 온실가스는 지구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켜 해수 온도 상승과 해수면 상승을 야기하며, 이는 곧 인류를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삶의 터전을 위협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여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아야 한다.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가능한 한 줄여 배출량 자체를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국립과천과학관의 기획전은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관람객들에게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생활 속 작은 실천들이 모여 지구의 미래를 지킬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번 전시는 곤충의 위기가 단순히 생태계의 문제를 넘어 인간 사회 전체에 미칠 수 있는 파급력을 보여주며, 우리 모두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생각하고 일상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한다.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진행되니, 자녀와 함께 방문하여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배우고 탄소중립 실천을 다짐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