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 운영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중요한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안전 및 재난 관리, 기록물 접근 등 기본적인 행정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행정안전부는 중대본 회의를 열어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하며 신속한 정상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오전 6시 기준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음이 보고되었다. 복구된 시스템 중에는 국민 안전과 직결된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의 각종 기록물을 열람할 수 있는 국가기록포털이 포함되어 있어, 연휴 기간 안전 관리 및 정보 접근에 대한 우려를 일부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윤호중 본부장은 국민들에게 불편과 걱정을 끼친 점에 대해 송구하다는 뜻을 전하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복구 작업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음을 밝혔다.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어제는 하정우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인력도 복구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는 단순 복구를 넘어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음을 시사한다. 행안부는 복구된 시스템 및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안내하고 있다.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발생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도 재개했다. 더불어, 수수료 감면 지원 현황 및 추가 지원 방안 등을 점검하고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복구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예비비를 투입할 계획이며, 시스템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부분은 보완하여 행정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 및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통해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러한 정부의 발 빠른 대응과 근본적인 시스템 재설계를 통해 향후 유사한 사고 발생 시 행정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