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천 암각화가 약 반세기 만에 수몰 위협을 딛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보존 및 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1970년 12월 24일, 울산 언양에서 발견된 천전리 암각화와 이듬해 1971년 12월 25일 인근 대곡리에서 확인된 고래, 사슴 등의 그림이 사실적으로 표현된 암각화는 당시 우리나라 선사 역사 연구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했다. 초기에는 ‘반구대 암각화’로 불렸으나, 현재는 ‘반구천 암각화’로 통칭되며 이번 유네스코 등재 공식 명칭으로도 확정되었다.
천전리 암각화는 청동기 시대, 대곡리 암각화는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 발견 순서와는 반대로 시대를 거슬러 나란히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반구천 암각화는 선사 시대부터 6000여 년에 걸쳐 인간의 상상력, 예술성, 그리고 자연과의 교감이 바위 위에 새겨진 ‘역사의 벽화’로서, 세계유산위원회는 “선사 시대부터 6000여 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자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는 선사인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평가는 2010년 잠정목록 등재 이후 15년 만에 빛을 보게 된 결과다.
천전리 유적에는 높이 약 2.7m, 너비 10m 바위 면에 마름모, 원형 등 추상적인 문양과 신라 시대 명문 등 620여 점이 새겨져 있다. 반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새끼 고래를 이끄는 무리, 작살에 맞아 배로 끌려가는 고래 모습, 호랑이·사슴 등 육지동물과 풍요를 기원했던 제의 흔적 등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문명대 교수의 회고담처럼, 이 암각화들은 ‘크리스마스의 기적’ 혹은 ‘크리스마스의 선물’이라 불리며, 단순한 동물의 묘사를 넘어 집단 의례의 도상, 인류 예술의 기원, 나아가 오늘날 다큐멘터리의 스토리보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 6000여 년 전 동해 연안 거주민들의 고래 사냥 기록이자 공동체 삶을 기록한 생활 연대기이며, 프랑스의 라스코 동굴벽화,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벽화와 비견될 만한 가치를 지닌다.
고래 옆에 새겨진 호랑이와 사슴, 그리고 아직 해석되지 않은 기하문들은 미지의 코드를 품고 있으며, 천전리 암각화의 다섯 개 다이아몬드 형상은 그 자체로 추상시를 연상시킨다. 2022년 울산MBC가 3부작 다큐멘터리로 이 신비를 탐구했던 것처럼, 문화유산은 과거의 유물이 아닌 현재와 끊임없이 대화하고 소통하는 ‘시간의 언어’다.
그러나 반구천 암각화는 지난 반세기 동안 수몰 위협에 시달려왔다. 댐 건설로 인해 암각화가 물에 잠겨 박락이 떨어져 나가고, 탁본으로 원본이 상실되는 안타까운 일도 발생했다. 최근 잦은 가뭄으로 암각화가 모습을 드러낼 기회가 늘었지만, 기후변화와 댐 운영의 변수 앞에서 언제든 ‘반구천’은 ‘반수천’이 될 수 있으며, 물속에 잠긴 유산은 세계유산의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등재 이후의 철저한 보호·관리 계획이 부실하다면 유네스코는 등재를 철회할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기적의 현장’을 ‘수몰의 현장’으로 되돌리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이제 진정한 과제는 지금부터다. 울산시는 ‘고래의 도시’를 표방하며 고래 축제를 개최하는 등 암각화 보존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단순 보존을 넘어 체험형 테마공원, 탐방로, 교육 프로그램, 워케이션 공간 등을 포함하는 생동하는 문화 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 이번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AI 기반 스마트 유산관리 시스템, 암각화 세계센터 건립 등 미래형 전략도 추진될 예정이다. 그러나 관광 인프라 조성이라는 명분 아래 생태 환경이 훼손되거나 과잉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유산의 본질을 배반하는 행위가 될 것이다.
프랑스 라스코 동굴벽화와 스페인 알타미라 동굴벽화의 보존 사례는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라스코 동굴은 일반 공개 이후 급증한 관람객으로 인한 환경 악화로 1963년 진본 동굴을 폐쇄하고 인근에 재현 동굴을 설치했으며, 2016년에는 디지털 기술로 구현한 복제본을 개관했다. 알타미라 동굴 역시 20세기 중반 이후 관광객 급증으로 인한 훼손 발생으로 2002년 전면 폐쇄 후 ‘새 동굴’이라는 정밀한 복제 동굴을 교육 및 관광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문화유산의 공개와 보존 간의 긴장 관계를 보여주며, 두 동굴 모두 결국 복제품을 통한 ‘간접 관람’ 방식으로 전환해야 했다.
문화유산은 원본이 주는 ‘아우라’가 최상이지만,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는 후대에 잘 물려주어야 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 현대 기술은 3D 스캔, 디지털 프린트, AI 제어 등을 능히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구천 암각화의 장엄한 서사가 인류와 함께 나눌 수 있는 이야기로 승화될 수 있을 것이다. 반구천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의 꿈은 유네스코의 이름으로 다시 살아났으며, 이제 이 거대한 바위의 이야기가 어떻게 미래 세대와 소통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