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맞아 고향을 찾은 이들의 문화생활 만족도를 높이고자 배포된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이번 할인쿠폰은 1차 때의 성공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단순히 전국 단위 혜택을 넘어 비수도권 지역민들을 위한 전용 할인권까지 추가하며 지역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이는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소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방 문화 콘텐츠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정책적 의지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주요 예매처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특히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전국 할인권보다 더 파격적인 할인율을 제공하며 주목받고 있다. 공연의 경우 1매당 15,000원, 전시는 5,000원씩 할인되는 혜택은 각 공연·전시 유형별로 2매씩 제공된다. 이는 1차 할인권이 전국 단위로 동일한 혜택을 제공했던 것과 달리, 지역별 문화 소비 격차를 줄이고자 하는 정책적 고민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처럼 확대된 혜택에도 불구하고, 할인쿠폰 사용에는 유의해야 할 사항이 존재한다. 2차 할인쿠폰은 11월 27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 쿠폰은 유효기간 만료 시 자동 소멸된다. 또한, 1차와 달리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재발행 및 사용 기한 설정은 할인쿠폰의 지속적인 활용도를 높이고, 조기 소진으로 인한 정책 효과 감소를 방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실제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전국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이는 지역 예술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잠재력을 지닌다. 예를 들어,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진행된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은 이러한 할인쿠폰의 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좋은 사례다. 해당 전시는 뱅크시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석판화 기법으로 구현하고, 길거리 작품들을 사진으로 옮겨 담는 등 다채로운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2018년 소더비 경매에서 분쇄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던 <풍선을 든 소녀>(이후 <사랑은 쓰레기통에>) 작품의 영상 자료와 298억 원에 낙찰된 비하인드 스토리는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처럼 뱅크시의 사회 풍자적 메시지와 버려진 수영장을 개조한 디즈멀랜드의 발자취, 그리고 우크라이나 건물 잔해에 남긴 작품까지, 이번 전시는 뱅크시라는 예술가의 다층적인 면모를 조명하며 관람객들에게 예술적 영감을 선사했다. 또한, 펙스코와 같이 지역 곳곳에서 개최되는 수준 높은 전시들은 비수도권 전용 할인쿠폰 덕분에 더욱 많은 시민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는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인한 문화 향유 불균형 문제를 완화하고, 지방 문화 콘텐츠의 잠재력을 발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비수도권 지역 문화 거점이 활성화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향유하고 소통하는 문화 생태계가 더욱 굳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책뉴스) 문체부, ‘공연·전시 할인권’ 173만 장 재배포…25일부터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