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의 고래 식당이 단순한 식사 공간을 넘어 ‘애도와 향수의 정서’를 담는 장소로 재해석되고 있다. 과거 번성했던 산업과 사라진 생업, 그리고 포경선의 추억을 고기 한 점에 담아 음미하는 행위는 단순한 식사가 아니라, 과거를 애도하고 회상하는 의례가 되고 있다. 이는 장생포의 고래가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고래고기가 과거를 기억하고 도시의 내일을 준비하는 매개체로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장생포는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모이는 깊은 바다였음이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고래잡이 그림과 유물로 증명된다. 넓은 수심과 적은 조수차, 풍부한 먹이 덕분에 장생포 앞바다는 고래의 보금자리 역할을 했으며, 이는 번성했던 포경업의 기반이 되었다. 1970년대에는 냉동 창고가 즐비할 정도로 어업이 성행했으며, 이는 당시 장생포의 경제적 풍요를 짐작게 한다. 그러나 1993년 세창냉동의 폐업 이후 냉동 창고는 주인을 잃었고, 산업의 쇠퇴를 상징하는 폐허로 남았다.
이러한 폐허는 2016년 울산 남구청이 건물과 토지를 매입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2021년 개관한 장생포문화창고는 과거의 아픔을 딛고 지역 문화 예술의 거점으로 재탄생했다. 6층 규모의 복합 예술 공간에는 소극장, 녹음실, 전시실, 갤러리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어린이를 위한 ‘에어장생’ 체험 프로그램과 조선 시대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구현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 등 다양한 세대가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수십 년 된 냉동 창고 문을 그대로 활용하여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는 업사이클링의 좋은 사례를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2층에 상설 전시된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이다. 이곳에서는 중화학공업 집약지로서 대한민국의 산업 발전을 이끌었던 울산의 역사를 보여준다. 굴뚝 연기로 인한 ‘온산병’과 같은 아픔도 있었지만, 이는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역사적 교훈으로 남았다.
과거 한반도 연근해는 고래의 황금어장이었으나, 남획과 외국 포경선에 의한 조업 개방으로 명맥이 끊겼다. 1946년 최초의 조선포경주식회사가 설립되며 시작된 한국의 근대 고래잡이는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100년도 안 되는 짧은 영광을 뒤로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하지만 장생포에서는 여전히 고래고기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 혼획된 밍크고래만을 합법적으로 유통하지만, 천정부지로 치솟은 고기값은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을 통해 고래고기를 더욱 욕망의 대상으로 만들고 있다. 12만 원짜리 ‘모둠수육’은 쇠고기와 닮은 붉은 빛깔의 살코기, 껍질, 혀, 창자, 염통 등 다양한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우네’와 ‘오배기’와 같은 고급 부위는 고래 특유의 맛과 식감을 극대화하며, 부위별, 조리법별로 다양한 소스와 어우러져 다채로운 풍미를 선사한다.
결론적으로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은 단순히 음식을 파는 곳이 아니다. 이곳은 사라진 산업과 생업, 포경선의 추억을 담은 ‘애도와 향수의 정서’를 공유하는 공간이다. 고래로 꿈꿨던 어부들, 고래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피란민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의 노력을 기리는 문화적 지층이 장생포의 고래고기에 녹아있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고래고기는 과거를 기억하고 도시의 내일을 준비하는 매개체로서 그 의미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