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여권지수가 20년의 역사를 통틀어 전례 없는 변화를 맞이하며, 미국 여권이 세계 최강 여권 상위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사태가 발생했다. 2014년 부동의 1위를 자랑했던 위상이 무색하게, 이제 미국 여권은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 세계 227개 목적지에 대한 여행 자유도를 기준으로 매겨지는 여권 순위에서 상당한 하락세를 의미하며, 그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동안 헨리 여권지수는 각국의 외교 정책, 비자 협정, 그리고 국제 관계 등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여 여권의 힘을 측정해왔다. 이러한 순위 변동은 단순히 수치상의 하락을 넘어, 국제 사회에서의 국가별 영향력과 외교적 위상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미국이 과거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킬 수 있었던 것은 강력한 경제력과 국제적 영향력에 기반한 외교 정책의 결과였으나, 최근 이러한 상황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음을 이번 순위 하락은 명확히 보여준다.
이번 미국 여권 순위의 하락은 향후 미국 외교 정책의 방향과 국제 사회에서의 역할 변화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과거와 같은 압도적인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 모색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이는 다른 국가들이 국제적인 고립을 탈피하고 자국의 여권 파워를 강화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더욱 가속화할 계기가 될 수 있다. 미국이 12위로 내려앉은 배경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은 국제 정세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