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화장품 제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지속되어 왔다. 오랜 시간 화장품 패키지에는 제품명, 제조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표기 정보와 함께 성분, 사용법, 보관법 등 방대한 양의 세부 정보가 좁은 면적에 빼곡하게 인쇄되어 왔다. 이는 작은 글씨로 인해 정보 가독성이 떨어져 소비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을 야기했다. 특히 시력이 좋지 않은 소비자들은 정보를 파악하는 데 더욱 큰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소비자가 제품의 안전성을 꼼꼼히 확인하고 현명한 구매 결정을 내리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는 ‘화장품 e-라벨’이라는 모바일 화장품 정보 제공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정책은 기존의 인쇄된 정보 대신, 제품 패키지에 QR코드를 삽입하여 소비자가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품명, 제조 번호, 소비기한과 같이 소비자가 자주 찾는 필수 정보는 제품 겉면에 확대된 글씨로 명확하게 표기되며, 안전 정보, 사용법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 스캔을 통해 모바일 웹사이트에서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장 면적을 차지하던 작은 글씨의 부담을 줄이고, 소비자에게는 정보를 보다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며, 제조사에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거쳐,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 말까지 진행되는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다양한 제품군이 추가되어 총 13개사 76개 품목이 확대되었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은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포장지 자원 절약이라는 친환경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향후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이 예정되어 있어 정보 접근성을 더욱 높일 전망이다.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으며, QR코드만 있다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화장품 e-라벨은 작은 글씨로 인한 정보 가독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안전한 화장품 사용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