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과 궁궐이 단순한 역사 유적을 넘어, 새로운 역사적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재탄생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을 운영하며, 과거 왕릉의 제사 문화와 대한제국 황실의 변천사를 조명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조선 왕릉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제도의 변화를 탐구하며,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왕릉과 왕릉을 잇는 길 위에서 역사의 숨결을 따라가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이번 여정은 조선 왕실 중심의 탐방에서 벗어나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이는 조선 왕릉이 단순한 무덤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와 함께 발전해 온 문화적 유산임을 보여준다.
구리 동구릉은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으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부터 현종의 숭릉까지 다양한 시대의 왕릉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능역의 구조와 제향의 의미, 그리고 능묘에 담긴 정치적 배경이 상세히 설명된다. 특히 송시열의 상소로 시작된 표석 설치와 전서체 사용에 대한 설명은 왕릉 제도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이는 후손들이 왕릉을 명확히 구분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하려는 ‘기억 보존’이라는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볼 수 있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으로 이어지는 ‘순종황제 능행길’은 대한제국 황실의 복잡한 역사를 조명한다. 순종은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조선의 마지막 황제로서, 그의 삶은 주권 상실이라는 비극적인 시대 상황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은 제사 횟수를 줄이는 것을 핵심으로 하며, 이는 제사 문화의 변화와 더불어 당시 대한제국이 겪었던 제도적 혼란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이러한 제도의 변화와 혼란 속에서 오늘날의 왕릉 제사가 정립된 과정은 과거의 ‘혼란’을 ‘정리’해 나간 역사적 노력을 담고 있다.
동구릉의 건원릉 봉분을 뒤덮은 억새는 태조 이성계의 유언과 후손들의 성실한 계승 의지를 보여주는 전통이다. 이는 단순한 장식을 넘어, 고향에 대한 애정과 역사적 기억을 보존하려는 ‘정체성’이라는 문제에 대한 상징적인 답변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추존왕의 능과 신도비, 표석의 의미는 왕릉 제도와 예제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서, 시대에 따른 왕의 위상 변화와 정치적 상황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삼연릉은 헌종과 두 왕비가 함께 모셔진 조선 왕릉의 유일한 합장 형식 사례이며, 경릉의 표석은 대한제국 시기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흔적을 통해 당시의 경제적 사정과 제도 변화를 보여준다. 홍릉 비각 표석을 둘러싼 대한제국과 일본 간의 갈등은 국권 상실이라는 시대적 ‘아픔’을 드러내며,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단순한 역사 답사를 넘어, 조선 왕릉이 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초등학생 참가자가 역사학자를 꿈꾸는 모습은 이 프로그램이 미래 세대에게 역사를 기억하고 이어갈 방법을 묻는 중요한 자리임을 시사한다. 오늘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은 그 자체로 아름답지만, 그 뒤에 담긴 역사를 기억하고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를 부여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