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 위기가 지역 관광 분야의 가장 큰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과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 구축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중앙 주도의 획일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해 나가는 현장 주도형 체계로 전환을 꾀하고 있다.
이 사업은 지역 관광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며, 각 지역이 가진 고유한 자원을 활용한 혁신적인 관광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우수 사례로 확산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영덕문화관광재단은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을 통해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외지 관광객을 다시 유치하고자 한다. 이 사업은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맞춤형 관광 요소를 포함한 액티비티 체험과 웰니스 체험 코스를 제공하여 가성비 높은 여행 경험을 선사한다. 또한, 완주문화재단은 지역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결합한 미식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스쳐 가는 관광지가 아닌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군산문화관광재단은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20년 만에 부활한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과거 군산항 여객터미널로 사용되던 공간은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거점이 되었다. 1층은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하여 복고적인 매력을 강화했고,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회의실 등을 마련하여 군산 내항의 풍경을 감상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개관 행사에서는 당시 어부의 일상을 보여주는 연극과 노래, 희망 종이비행기 날리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많은 이들의 추억을 되살렸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은 군산항의 역사적 기억을 간직한 상징적인 장소가 지역 주도로 새롭게 변화한 좋은 사례를 보여준다. 이는 시민들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는 항구의 매력을 알리고 지역의 정체성을 되살리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강원관광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 등 총 6개 지역 재단과 단체가 이번 사업에 선정되어 각자의 지역 고유의 색깔을 드러내는 매력적인 공간과 체험형 관광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제 국민들은 대한민국 곳곳에서 변화된 관광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며 지역 고유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