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는 수많은 역사적 사건과 고유한 문화 유산을 간직한 섬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폐직물 공장을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며 또 다른 매력을 선보이고 있다.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는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강화의 잊혀가는 직물 산업의 역사를 보존하고 체험하는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두 공간은 과거 60여 개가 넘는 방직공장이 성행했던 강화의 풍요로웠던 시절을 되짚어보게 하며, 당시 여성들의 억척스러운 삶과 애환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과거 강화는 수원과 함께 국내 3대 직물 도시로 손꼽혔다. 1933년 ‘조양방직’ 설립 이후 1970년대까지 60개가 넘는 방직공장이 운영되었으며, 4,000여 명에 달하는 직공들이 근무할 정도로 활발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졌다. 현재에도 6개의 소창 공장이 옛 방식 그대로 소창을 직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놀랍다. 이러한 강화 직물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폐공장 ‘동광직물’을 생활문화센터로, 1938년에 건축된 ‘평화직물’ 터를 ‘소창체험관’으로 개조하여 운영하고 있다.
소창은 목화솜에서 뽑아낸 실로 짠 천으로, 옷, 행주, 기저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부터 면화를 수입하여 직물을 생산했으며, 당시 12시간 주야간 교대로 먼지 속에서 일했던 어린 직공들의 이야기는 강화 직물 산업의 팽창을 짐작케 한다. 문화해설사는 당시 강화읍 권에만 60여 개의 공장이 성행했으며, 4,000명이나 되는 직공들이 근무하며 경제 활동을 했다고 설명한다. 열 몇 살 된 어린 직공들도 방직공장 다니는 것을 꿈꿀 정도로 후한 임금을 제공했던 시절이었다.
직물 산업과 더불어 강화는 예부터 화문석으로도 유명했다. ‘화문석’은 꽃무늬를 놓은 자리 꽃돗자리를 의미하며, 특히 강화 왕골은 순백색의 기질로 인해 기품 있고 아름다운 문양을 자랑하며 튼튼하고 보온 및 통기성이 뛰어난 특산품이었다. 고려 시대부터 외국에 수출되고 사신에게 선물될 정도로 고급품으로 명성을 떨쳤던 화문석 제조의 섬세한 손길이 직물 생산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소창체험관에서는 면사를 풀어 풀을 먹이고 표백 과정을 거친 후 옥수수 전분으로 풀을 먹여 건조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햇볕이 좋을 때는 사흘, 겨울에는 일주일 정도 건조해야 비로소 뽀얗고 부드러운 실이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씨실과 날실을 베틀에서 교차시켜 평직물을 만드는 수작업 과정을 통해 옛 방식 그대로 소창을 직조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과거 강화 여성들은 생산된 방직물을 직접 둘러메고 삼삼오오 무리를 지어 전국을 다니며 판매했다. 중간 상인 없이 직접 판매했기에 마진이 좋았으며, 북한 개풍까지도 다녀왔다고 한다. 이들은 앞치마에 새우젓을 싸 가서 끼니를 해결했으며, 힘들고 배고픈 시절 쉰밥, 찬밥에 유일하게 곁들일 수 있었던 귀한 반찬이었다. 이러한 억척스러움과 뻔뻔함이라는 말을 들으면서도 꿋꿋하게 삶을 이어갔던 강화 여인들의 이야기는 깊은 울림을 준다.
강화 새우젓은 서해안 전 지역에서 많이 잡히는 젓새우 중에서도 특히 유명하다. 넓은 갯벌의 서식 환경과 더불어 한강과 임진강 두 개의 거대한 강물이 바다로 흘러드는 지리적 특성 덕분에 젓새우의 맛이 월등하다고 전해진다. 짠맛보다는 들큼하면서도 담백한 맛으로, 늦가을 김장철이면 강화 새우젓을 사려는 사람들로 섬이 들썩일 정도다.
이 강화 새우젓을 활용한 대표적인 향토 음식은 ‘젓국갈비’다. 이름에서 ‘갈비’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 음식의 진정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젓국’이다. 새우젓이 갈비, 호박, 두부, 배추 등 모든 재료를 압도하며 깊은 감칠맛을 선사한다. 슴슴하면서도 배추에서 우러난 단맛과 젓새우가 주는 찝찔한 감칠맛의 조화는 도드라지는 재료 하나 없이도 오묘한 맛을 만들어낸다. 특히 육수에 채소를 데치는 ‘샤부샤부’ 이전, 강화 사람들은 젓국 하나로 이토록 멋진 음식을 탄생시킨 것이다.
강화 창후리는 교동 앞바다와 함께 최고의 새우잡이 터로 꼽히며, 이곳에서 젓을 떼어 만든 젓국갈비는 인공감미료로 흉내 낼 수 없는 새우젓 고유의 미미한 감칠맛을 자랑한다. ‘대미필담(大味必淡)’, 즉 정말 맛있는 음식은 담백하다는 말처럼, 애호박의 단맛과 배춧잎의 구수한 맛을 끌어올리는 새우젓은 젓국갈비 맛의 한 끗을 좌우한다. 이처럼 소창의 역사와 더불어 새우젓을 깊이 이해하게 되니, 쉰밥, 찬밥에 요긴했을 강화 여인들의 새우젓이 더욱 특별하게 다가온다.
이윤희 방송작가는 함민복 시인의 시를 인용하며 “눈물은 왜 짠가, 새우젓은 왜 이다지 짠가, 우리네 인생은 왜 이렇게 애잔한가”라고 되돌아본다. 과거 강화의 억척스러운 여인들과 그들의 삶을 지탱했던 새우젓, 그리고 어린 시절 엄마가 기저귀를 삶던 소창의 기억이 겹쳐지며 깊은 감회를 불러일으킨다.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 직원들과 문화해설사들의 친절함은 이러한 감동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주며, 세상에는 감사할 일이 도처에 있음을 다시금 깨닫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