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기술 도입을 외치지만, 정작 기본적인 데이터 기록조차 미흡한 실태가 공공 서비스 곳곳에 만연해 있음이 지적됐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AI 전환은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가 쌓이고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로그(Log)가 없는 웹페이지를 수만 년을 운영한들 서비스는 조금도 개선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한다.
로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건을 순서대로 기록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로그인 기록,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발생 등 다양한 이벤트가 여기에 포함된다. 이러한 로그 데이터는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웹사이트 메뉴 중 어떤 메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지 파악하여 배치 개선에 활용하거나, 페이지 로딩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경우 사용자의 이탈로 이어지기 전에 신속하게 문제를 진단하고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3초 이상 걸리는 웹사이트의 경우 40%의 사용자가 이탈한다는 통계가 있으며, 5초 이상이면 사실상 ‘죽은 사이트’로 간주된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박 의장의 지적에 따르면, 상당수의 공공 서비스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에는 이러한 로그가 제대로 깔려 있지 않다. 이는 곧 어떤 메뉴가 사용자에게 인기가 있는지, 혹은 서비스 이용 중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할 근본적인 방법이 부재함을 의미한다.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불편함을 느끼고 이탈하더라도, 그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데이터가 쌓이지 않는 것이다. 이는 곧 공공 서비스의 질적 개선이 요원함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공지능(AI) 전환은 더욱 요원해진다.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발전하는데, 데이터가 쌓이지 않는 환경에서는 AI의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박 의장은 “AI는 데이터를 먹고 자란다”며, 데이터는 “일을 할수록 쌓여야 하고, 기계가 읽을 수 있어야 하며, 통합될 수 있어야 한다”고 정의한다. AI 비서가 공무원들의 업무를 돕기 위해서는 과거 유사 업무 처리 기록, 타 부처와의 시너지 창출 가능성 등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또한, 회의록을 통해 결정된 사항, 책임자, 중간 보고일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캘린더에 연동하는 것 역시 로그 기반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가 선행되어야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AI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단순히 AI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깊은 이해와 클라우드 기반의 업무 환경 구축이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데이터가 쌓이도록 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 로그가 제대로 기록되지 않는다면, 아무리 오랜 시간 서비스를 운영하더라도 진정한 의미의 발전은 기대하기 어렵다. 이는 공공 서비스가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