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만큼이나 잊혀진 취미가 되어버린 ‘우표 수집’이 다시금 주목받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때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가 즐겼던 우표가 이제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져 가고 있다는 점은 분명 아쉬운 부분이다. 이러한 현실은 과거 우표가 가졌던 대중적인 인기와 매력에 비해 안타까운 현실을 보여준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취미는 우표 수집’이라고 말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우표에 열광했다. 우체국 선배들의 증언에 따르면, 기념우표가 발행되는 날이면 새벽부터 우표를 구매하려는 사람들로 우체국 앞에 장사진을 이루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이는 마치 몇 년 전 크게 유행했던 캐릭터 스티커 모으기와 같은 대중적 인기를 누렸던 시기가 있었음을 방증한다. 당시 우표는 단순한 우편 요금 납부를 넘어, 그 자체로 소장 가치를 지닌 매력적인 수집품으로 여겨졌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손으로 쓴 편지가 점차 줄어들고, 그 영향으로 우표를 접할 기회나 우표 수집가를 찾아보기 어려워진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표 수집은 여전히 분명한 매력을 지닌 취미로서 그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 우표는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부담 없이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년 다양한 디자인의 기념우표가 꾸준히 발행되고 있어 수집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국내 우표만으로 만족하지 못한다면 해외에서 발행되는 우표로 시선을 돌려 얼마든지 수집의 폭을 넓힐 수도 있다.
우표는 크게 ‘보통우표’와 ‘기념우표’로 나눌 수 있다. ‘보통우표’는 우편요금 납부를 주목적으로 하며, 발행 기간이나 수량 제한 없이 소진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행된다. 반면, ‘기념우표’는 특정 사건이나 인물, 자연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발행 기간과 수량이 정해져 있어 보통우표에 비해 희소성이 높다. 대한민국에서는 우정사업본부가 매년 ‘국내외 주요 행사, 인물, 자연, 과학기술, 문화 등’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연간 약 10~20회 정도의 기념우표를 발행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에는 총 21종의 기념우표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지난 5월 8일에는 가정의 달을 기념하는 ‘사랑스러운 아기’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지방 우정청이나 우체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도 자체적으로 기념우표를 기획·제작하며 지역의 특색을 담아내고 있다. 지난해 11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업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오롯이 담아냈다는 점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지난해 태백우체국이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올해 4월 양구군이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강원의 아름다운 자연을 담아내며 지자체를 홍보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이처럼 다양한 매력을 지닌 우표가 이제는 과거의 명성을 잃어가고 있는 현실은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한때 많은 사람들의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다시금 현대 사회에서 누군가의 새로운 즐거움이자 소중한 기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