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위협이 가시화되면서, 곤충이 보내는 경고 메시지에 주목해야 할 때다. 곤충은 물과 토양 정화, 꽃가루 매개, 먹이사슬 유지 등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미래 식량 자원 및 산업 소재로서도 그 가치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이러한 곤충이 직면한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은 단순한 생물학적 문제를 넘어 인류의 미래와 직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제의 심각성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되는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4억 년 전부터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으로 자리매김해 온 곤충은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놀라운 적응력을 바탕으로 환경 변화에 맞서 생존해 왔다. 하지만 현재 겪고 있는 기후변화는 곤충의 뛰어난 적응력조차 무력하게 만들고 있다.
전시는 기후변화로 인해 곤충 서식지가 확장되거나 축소되면서 생존 위기를 겪는 다양한 사례를 보여준다. 특히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기는 현상을 보인다.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에 처한 대표적인 종이다. 곤충의 변화는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8종을 통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멸종위기종에게 닥친 현실이다. 한때 조선시대 그림에도 등장할 만큼 흔했던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의 감소로 인해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감소하며 멸종 위기에 놓였는데, 이는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적으로도 완전히 사라진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 이러한 곤충의 위기는 인류가 직면한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강력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며, 이는 지구 온도 상승과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탄소중립은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통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작은 습관의 변화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10월 26일까지 이어지는 이 전시는 초등학생을 포함한 온 가족이 함께 관람하며 탄소중립 실천의 중요성을 되새길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