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곤충의 존재는 지구의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식물의 생존과 번식을 도우며, 복잡한 먹이사슬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생태계 전반을 지탱하는 근본적인 동력이다. 또한 곤충은 미래 식량 자원으로서, 그리고 다양한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 또한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현재 곤충들은 기후변화라는 전례 없는 위협 앞에 직면하며 그 생존 기반이 흔들리고 있으며, 이는 곧 우리 생태계 전체의 위협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곤충의 중요성과 가치를 재조명하고, 곤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2019년 ‘곤충의 날’이 제정되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곤충의 날을 기념하여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이라는 제목의 특별 기획전을 개최했다. 이 전시를 통해 기후변화가 곤충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생태계 보존과 탄소중립 실천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전시는 약 4억 년에 달하는 곤충의 역사를 보여주며, 이들이 단단한 외골격과 변태라는 놀라운 적응 전략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생존해왔음을 설명한다. 곤충은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하게 진화한 생물군으로, 그들의 생존 방식은 환경 변화에 대한 인류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뛰어난 적응력을 자랑하는 곤충이라 할지라도, 가속화되는 기후변화 앞에서는 속수무책인 경우가 많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이동해야 하는 곤충들은 개체 수가 급감하는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경고하는 인류를 향한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전시에서는 곤충의 변화를 통해 기후변화의 생태학적 지표종 8종을 소개하며 문제의 심각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서식지를 찾아 북쪽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온 상승에 비교적 잘 적응하여 서식지를 넓히기도 했다. 하지만 큰그물강도래와 철서기 등은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에 처해 있다.
이미 멸종 위기에 놓인 종들에게는 기후변화가 더욱 치명적인 위협으로 작용한다. 붉은점모시나비는 조선시대 그림에도 등장할 만큼 흔했으나, 먹이식물의 감소로 인해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급감하여 멸종 위기에 놓였으며, 이는 곧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에서 영원히 사라짐을 의미하므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
이러한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다.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 상승과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여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 개인의 일상적인 노력으로도 실천 가능하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 속 작은 실천들이 모여 탄소중립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곤충의 변화를 통해 기후변화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의 삶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금 깊이 생각하고, 각자의 자리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며, 10월 26일까지 이어지는 전시를 통해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을 되새겨보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