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가 지난 9월 9일(화)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개최되며,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의 현주소를 보여주었다. 행사는 초록·노랑 천막으로 꾸며진 부스들로 가득했으며, 입구에는 공공기관 관계자, 시민, 그리고 생산자들이 각자의 목적을 가지고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이 연출되었다. 이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기존의 ‘보호’ 또는 ‘시혜’라는 인식을 ‘일상에서 당연히 소비되는 제품’으로 바꾸어내는 정책 현장이자 종합 시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번 박람회의 핵심적인 ‘문제점’은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가진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충분히 인지되거나 소비되지 못하는 현실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제품들을 특별한 대상으로 여기거나,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낯섦’의 장벽을 허물고 ‘일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서, 이번 행사는 다양한 체험 및 상담 프로그램과 함께 실질적인 판로 개척의 장을 마련했다.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등 참여자들이 직접 생산 과정을 경험하며 노동의 가치를 몸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참가자를 돕는 작업장 선생님의 모습은 단순한 가르침이 아닌 동료로서의 연대를 보여주었고, 완성된 쇼핑백에 새겨진 ‘일상으로’라는 문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비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체험에 참여한 박O광 씨(32)는 “마지막 매듭을 완성했을 때 제 손으로 끝까지 해냈다는 성취감이 크게 다가왔다”고 말하며, 자신의 손으로 만든 제품이 ‘정직하게 만든 생활 속 제품’으로 받아들여지기를 희망했다. 이O도 씨(27) 역시 “제가 만든 쇼핑백이나 조화를 누군가 실제로 사용한다고 생각하니 뿌듯했다”며, 이번 경험이 안정적인 일자리로 이어져 더 많은 청년 장애인이 일상을 이어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내비쳤다.
한편, 전시장 안쪽에서는 ‘맛·품질·가격’을 앞세운 다양한 제품들이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래그랜느 쿠키’ 부스에서는 HACCP 인증을 받은 위생적인 생산 과정을 안내하며 신뢰를 더했고, ‘쌤물자리’ 부스의 누룽지와 국수 등 곡물 가공품은 합리적인 가격과 함께 조리 영상을 통해 제품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홍보했다. 특히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에서 선보인 제설제와 세정제는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오래된 고정관념을 단숨에 깨뜨리며 산업 현장에서도 쓰이는 제품으로서의 경쟁력을 증명했다. 제품 앞에 선 생산자들의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당당함’은 단순한 동정이 아닌 실질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행사장 한편의 무대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과 함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 등 내일의 판로를 약속하는 서명이 이어졌다. 이는 어제의 성과를 기리는 동시에 내일의 공급망을 열어가는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통로 곳곳에서는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가 납품 조건을 논의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는데, 이는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궁극적인 목표가 현장에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생생한 장면이었다.
이처럼 이번 박람회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의 실효성을 재확인하고, 이를 시민들의 ‘재구매’로 연결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이 해당 생산 시설의 제품과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하여,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다. 이는 단순한 상업적 거래를 넘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사회적 신뢰를 쌓는 실질적인 기반을 조성한다. 이번 행사장에서 마주한 손끝의 성실함, 무대 위의 약속, 그리고 통로에서 오간 대화는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바꾸어놓았다.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진실은, 이번 박람회의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