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콩나물국밥이 유독 전북, 특히 전주 지역에서는 지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명성을 얻고 있다. 시원하고 감칠맛 나는 콩나물국밥은 단순히 대중적인 메뉴를 넘어 지역의 정체성을 담은 최고 음식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는 물 좋은 전북의 콩과 콩나물이 맛있는 국밥의 근간이 되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집에서는 흔히 끓여 먹는 콩나물국이 왜 이 지역에서는 이토록 특별한 대접을 받게 되었을까.
박찬일 셰프는 음식 문화의 지역적 다양성을 강조하며, 같은 음식이라도 지역별로 미묘한 변화와 독자적인 특색을 갖게 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마치 중국 화교가 시작한 짜장면과 짬뽕마저도 지역마다 맛이 다르듯, 음식은 그 지역의 삶의 방식과 습속을 반영하며 고유한 재미를 선사한다는 것이다. 그는 서울 등지에서 콩나물국밥을 단순히 백반에 곁들여 나오는 평범한 국으로 여겼던 경험을 떠올리며, 값싼 재료와 푹 퍼진 콩나물 때문에 별다른 맛을 기대하기 어려웠던 대중적인 인식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전라북도에서 콩나물국밥은 전혀 다른 경험으로 다가온다. 전주를 비롯한 전북 지역의 콩나물국밥집에서는 주문 방식부터 세심한 배려와 지역만의 독특한 문화가 담겨 있다. 수란으로 할지, 날계란으로 할지, 오징어를 넣을지 말지, 밥을 토렴해서 줄지 따로 줄지 등 메뉴 선택의 다양성은 물론, 가게마다, 동네마다, 지역마다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복잡함 속에서도 현지인은 ‘여기는 어떻게 시켜요?’라고 물어보라고 조언하며, 그러면 주인 대신 옆자리 손님이 친절하게 안내해주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한다. 이는 단순한 주문을 넘어선 지역 주민들의 정겨움과 정보 공유의 문화를 보여주는 예시이며, 외지인에게는 맛있는 콩나물국밥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안내해주는 지역 주민에게는 뿌듯함을, 그리고 식당 주인에게는 매출 증대의 ‘일거삼득’을 가져다준다고 분석한다.
특히 전주 남부시장의 콩나물국밥집 경험은 더욱 깊은 인상을 남긴다. 뜨거운 국을 푸고 밥을 토렴하는 일반적인 국밥집과는 달리, 이 시장 국밥집에서는 주문을 받으면 신선한 마늘과 매운 고추, 파를 손님 앞에서 직접 다져 양념을 만들어 제공한다. 음식의 생명인 향미를 극대화하는 이러한 조리 방식은, 영세한 국밥집에서도 정성을 다해 음식을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는 전주뿐만 아니라 익산, 군산 등 전북 권역 전반에 걸쳐 콩나물국밥으로 명성을 떨치는 가게들이 즐비한 배경을 설명하며, 비록 과거와 같은 폭발적인 인기는 아닐지라도 전북 방문 시 반드시 경험해야 할 대표 음식으로서 그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맛있는 콩나물국밥집을 택시기사에게 함부로 묻지 말라는 추신은, 전통적인 명가와 새롭게 떠오르는 신흥 강자들이 너무나 많아 기사님들조차 즉답을 망설일 정도로 지역 내 콩나물국밥 문화가 얼마나 풍부하고 경쟁적인지를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