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고조된 우리 문학계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자 하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더 나아가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시키기 위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올해 처음으로 그 문을 열었다. 이번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유수의 문학 행사들을 하나의 통합된 틀 안에서 아우른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도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동시에 펼쳐지고 있어, 문학은 더 이상 특정 공간에 국한되지 않는 생활 속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축제의 일환으로 열린 ‘2025 문학주간’은 ‘도움―닿기’라는 주제 아래, 문학이 우리 삶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희망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는 빠르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취지 속에 마련된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글쓰기에 필요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이 공유되어 깊은 울림을 주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들은 글쓰기가 곧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웠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다가왔다. 글을 쓰는 행위가 결국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라는 점을 되새기게 하는 강연이었다.
축제는 강연 외에도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비로 인해 일부 야외 프로그램이 취소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체험은 참여자들에게 즐거운 추억을 선사했다. 직접 찍어낸 귀여운 주황색 고양이 그림 책갈피는 오래 기억될 만한 소중한 결과물이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을 넘어,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학 축제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와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일정이 연이어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의 일환으로 기획된 ‘2025 고양독서대전’은 지역 문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과도 연계하여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펼쳐질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문학은 단순히 책장 속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읽고, 만나고, 쓰는 과정을 통해 그 힘을 발휘한다. 이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소중한 기회가 되어 더 많은 시민들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어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