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은 잠시 멈춰 서서 예술을 만나는 특별한 공간으로 변모한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마다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인다. 이는 바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적 휴식을 쉽게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러한 거리예술 공연의 필요성은 시민들이 문화 향유의 기회를 얻기 어려운 현실에서 비롯된다. 시간적 여유 부족, 물리적 거리, 혹은 문화시설에 대한 접근성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예술과 멀어지고 있다. 국립극단이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마련한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움직임이다. 특히 <한낮의 명동극>은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으며,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통해 시민들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고자 한다.
<한낮의 명동극>은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한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거리예술 공연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극장의 문턱을 낮춤으로써 기존의 관객층을 확대하고, 시간을 내어 극장을 방문하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혹은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도 자연스럽게 공연을 접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예술이 삶 속에 더욱 깊숙이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것이다.
실제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에서는 시민들의 뜨거운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연 안내 방송에 맞춰 발걸음을 멈춘 시민들은 점차 이야기에 몰입했으며, 단 한 명의 연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은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만들었다. 특히 연주자가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주는 등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참여형 공연 방식은 관객들에게 단순한 수동적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강렬한 예술 경험을 선사했다. 아이와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작품별 공연 시간이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부담이 없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국립극단은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과 ‘백스테이지 투어’ 등 다채로운 무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세한 일정과 정보는 국립극단 누리집 및 공식 SN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화가 있는 날’에 제공되는 전국 각지의 다양한 문화 혜택 정보는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어, 시민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는 문화 활동을 선택하고 즐길 수 있다. 바쁜 일상 속에서 만나는 이러한 작은 무대들은 시민들에게 잊지 못할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