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가계 자산의 75%를 부동산이 차지하고 금융자산은 25%에 불과한 불균형한 자산 구조가 노후 빈곤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자산의 대부분을 부동산에 묶어둔 채 급격한 고령화와 경제 불황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 하락 시기에 맞닥뜨릴 경우, 예상치 못한 노후 위험에 취약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는 이러한 현상이 한국의 노후 대비 자산관리 원칙과 배치된다고 지적한다. OECD 국가들의 평균적인 금융자산 비중이 60~70%에 달하고 부동산 비중이 30~40%인 것과 비교하면, 한국 가계의 자산 구조는 정반대에 놓여 있다. 심지어 65세 이상 고령층 가구의 경우 자산의 80~90%가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어, 특정 자산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가 노후 생활의 불안정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단순히 통계상의 수치일 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의 토지 자산 규모를 비교했을 때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남한의 국토 면적은 일본의 약 4분의 1에 불과하지만, 2023년 기준 한국의 토지 자산 규모는 1경 2093조 원에 달하며, 이는 일본의 토지 자산 규모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수준이다. 이는 한국의 땅 한 평 가격이 일본의 네 평 가격과 맞먹는다는 계산으로, 한국의 부동산 가격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1980년대 후반 극심한 부동산 버블을 경험했던 일본의 당시 상황과 비교해도 놀라운 결과이다. 당시 일본의 토지 자산 규모는 지금의 두 배에 가까웠던 반면, 한국의 토지 자산 규모는 일본의 15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이러한 부동산 편중 현상은 일본의 경우처럼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불황 등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장기 하락세로 접어들 경우 심각한 문제로 부각될 수 있다. 1982년을 100으로 했을 때 1991년 290까지 치솟았던 일본의 택지 지가지수는 2012년 102까지 급락한 바 있으며, 이는 부동산 가격 하락이 장기화될 경우 자산 가치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일본에서는 ‘집 없으면 어때? 빌려 살면 되는 거지’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억지로 내 집 마련에 집착하기보다는 금융자산을 다른 곳에 활용하는 합리적인 판단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소액의 자금으로도 빚을 내어 집을 사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이는 도시화율이 90%를 넘어서고, 제2차 베이비붐 세대의 내 집 마련 수요도 곧 마무리될 것이며, 저출산·고령화가 일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미래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만으로는 위험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노후 대비 자산관리의 핵심 원칙은 재산이 특정 자산에 집중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강 대표는 “갖고 있는 재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다면 부동산의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려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퇴직 무렵에는 선진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중을 반반으로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하며, 특히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는 것은 더욱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러한 원칙을 지키는 것이 불안정한 노후를 대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