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치의 격랑과 대외 안보의 긴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대한민국은 현재 심각한 구조적 문제 해결이라는 절체절명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최근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서도 윤석열 대통령은 4대 개혁 완수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는 단순한 정책 추진을 넘어, 국가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임을 시사한다.
뉴스위크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은 현안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과 흔들림 없는 자신감을 보여주었다.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에서 날아온 취재진 앞에서 대통령은 외교 안보 현안부터 4대 개혁, 경제, 저출생 문제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면서도 논리적인 답변을 이어갔다. 이러한 모습은 70분간의 인터뷰 내내 취재진의 고개를 끄덕이게 했으며, 특히 북한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4대 개혁을 완수하겠다는 그의 확신은 깊은 인상을 남겼다. 뉴스위크가 커버스토리 제목을 “윤 대통령에게 가장 큰 문제는 북한이 아니다”라고 뽑은 이유도 이러한 분석적 관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은 인터뷰를 통해 단순히 현재의 GDP 성장률을 높이는 것보다 퇴임 후 다음 정권에서도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잠재 성장 동력을 만들어내는 것이 재임 중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지율 하락이나 중간선거 결과와 무관하게, 임기 내에 현재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어야 하며 개혁과 제도 개선 없이 물러설 수 없다는 강력한 의지를 ‘사자후’와 같이 표출했다. 이러한 발언은 임기 반환점을 맞은 대통령의 절박함과 책임감을 여실히 드러낸다.
미국 대선 결과 발표 직후 발간된 뉴스위크의 첫 커버 스토리로 윤 대통령이 선정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국내적 진실(Home Truths)’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불굴의 의지로 개혁을 완수하려는 한국 대통령의 이미지를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한 결과다. 뉴스위크의 커버 스토리 제목인 ‘혹독한 맞바람(Harsh Headwinds)’과 부제 ‘점차 더 호전적이 돼 가는 북한이라는 유령(specter)의 그림자 속에서 한국의 구조적 문제를 개혁하기 위한 윤 대통령의 전쟁(battle)’은 이러한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뉴스위크 편집팀은 전 세계인들에게 한국 내 도전적 환경의 엄중함(magnitude of the challenges)을 현실적으로 부각시키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국가 안보 현안과 국내 개혁 과제 모두 경중을 가리기 어려운 절체절명의 과제임을 분명히 했다. 이는 한국 정부의 대외정책과 국내 개혁 과제 추진이 ‘동전의 양면’과 같다는 그의 발언에서도 드러난다. 뉴스위크는 윤 대통령의 개혁 추진 의지의 강인함(resilience)과 사심 없는 결단력(selfless determination)을 주요 키워드로 삼았으며, 글로벌 중추 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의 4대 개혁 성공은 이제 전 세계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뉴스위크와의 인터뷰 논의는 3월부터 시작되었으나, 총선과 의료 개혁 추진 등으로 시기를 놓쳤다가 임기 반환점을 앞두고 재개되어 10월 16일에 성사되었다. 이번 인터뷰는 뉴스위크의 최고경영자(CEO)와 글로벌 편집장 등 핵심 인사들이 참여했으며, 특히 분쟁 지역 종군기자 출신인 매슈 토스테빈 선임기자가 메인 필자로 나섰다.
예정된 시간을 넘겨 추가 질문까지 소화한 인터뷰 후, 윤 대통령은 프로필 사진 촬영에서도 시종일관 밝은 표정으로 임했다. 촬영 후에는 취재진에게 접견실을 소개하며 선물 받은 물품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고, 기념사진 촬영으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인터뷰를 통해 남북 대치 현장에 대한 취재진의 관심 또한 반영되었다. 북한의 경의선 동해선 연결도로 폭파로 인해 비무장지대 방문은 무산되었으나,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 방문을 통해 윤 대통령의 ‘자유, 평화, 그리고 통일’이라는 간결한 메시지가 소개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