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어오는 계절, 굽이진 길을 따라 철조망과 경비초소, 경고문들을 지나 오두산 통일전망대에 들어서면 ‘휴전국’이라는 현실을 다시금 상기하게 된다. 푸르른 하늘 아래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망원경으로 바라보는 북한 개성의 일상은 분단의 아픔과 통일의 염원을 동시에 느끼게 하는 생생한 현장이다. 이는 단순히 가을 나들이를 넘어, 통일 문제가 더 이상 나와 무관한 먼 이야기가 아님을 실감하게 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1층과 2층에 분단 역사를 되돌아보고 현재를 짚으며 통일의 미래를 제시하는 전시실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2층 ‘그리운 내 고향’ 전시실에는 실향민들이 그린 북녘 고향 그림 5,000여 점이 전시되어 있어, 애틋한 마음들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3층으로 올라가는 길목에는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DMZ 철조망을 피아노 현으로 제작한 ‘통일의 피아노’가 자리하고 있다. 전시실 곳곳에는 분단 역사, 6.25 전쟁 자료, 남북 교류 관련 전시가 소개되어 있으며, 영상실에서는 통일 교육 다큐멘터리를 상영하며 깊은 이해를 돕는다.
야외 전망대에서는 개성 시내와 북한 마을의 논밭, 건물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거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날씨가 맑은 날에는 개성 시내, 개풍군 마을, 그리고 북한 주민들의 생활 모습까지 관찰할 수 있어, 북한이 가장 잘 보이는 전망대 중 하나로 꼽힌다. 서울 도심에서 약 한 시간 남짓한 거리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며, 연간 약 100만 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이다. 이곳에서 망원경 너머로 보이는 북한 주민들의 일상은 ‘가깝지만 먼 나라’라는 분단의 현실을 더욱 선명하게 각인시킨다.
이처럼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가능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현장이다. 이러한 현장성은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전년 대비 약 20% 이상 증액된 1조 2,378억 원 규모로 편성되었으며, 남북협력기금은 1조 25억 원으로 확대되었다. 이는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사업, 문화 교류 및 국민 공감 프로젝트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예산안에 새롭게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민들이 통일 관련 정책을 ‘보고, 느끼는’ 체험의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산은 크게 네 가지 분야에 배분된다. <인도적 문제 해결>에는 약 6,810억 원이 책정되어 이산가족 지원과 구호 활동에 집중된다. <경제협력 기반 조성>은 교류 협력 보험, 경제협력 대출 등을 포함하여 남북 교류 재개 시 활용될 토대를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사회문화 교류> 분야에서는 남북 간 문화·체육 교류, 민간 교류 사업 등이 소규모로 반영되었으며, <국민 공감 확대>는 통일 문화 체험, 민간단체 지원, 사회적 대화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국민적 공감대를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예산 항목들은 단순히 ‘정책 사업’으로만 머무르지 않는다. 국민 공감 사업은 오두산 통일전망대나 DMZ 탐방과 같은 현장 체험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정부 예산은 국민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중요한 자원으로 작동하게 된다. 더불어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에게 DMZ 생생누리 방문 시 입장료 반액 할인이라는 ‘DMZ 연계할인’을 제공하는 점은 이러한 체험 기회 확대를 더욱 촉진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마주한 북한 너머의 풍경은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정부 문서 속 숫자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준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의 증액된 규모와 신규 사업들은 통일이라는 미래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한다. 특히 인도적 지원, 경제협력, 통일 문화 및 국민 체험 사업 등이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이끌어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다만, 예산이 책상 위에만 머무르지 않고 실질적인 ‘체감 정책’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의 흐름, 주민과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이 함께 작동해야 한다. 화창한 날씨 속에서 청명한 하늘과 함께 풍경을 바라봤던 오두산 통일전망대처럼, 눈앞의 풍경이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하는 공간들이 많아지고, 예산이 그 공간들을 지원하는 든든한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