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속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과 우리말의 의미 퇴색이라는 문제는 많은 이들에게 아쉬움을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25년 10월 9일,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한글날을 기념하여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특별한 행사를 개최하며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시간을 마련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 이번 행사는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우리말을 제대로 알고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이날 행사에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 우리말의 다양한 측면을 경험할 수 있는 부스들이 잔디밭 위에 마련되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풍부함을 지도 위에 직접 적어보며 실감 나게 체험할 수 있었다. 겉절이를 뜻하는 ‘재래기’와 같이 각자의 고향 사투리를 공유하며, 대전에도 사투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인지하는 등 사투리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더불어,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로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순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끼고 재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우리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도 주목받았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선택하는 게임을 통해 참가자들이 자연스럽게 정확한 우리말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했다. 여러 번의 기회를 제공하여 아이들도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었으며, 정답을 맞힌 참가자에게는 <우리말 가꿈이> 전용 휴대용 물티슈가 제공되었다. 또한,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한’이 ‘크고 으뜸 되는’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배우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글에 담긴 깊은 뜻을 되새기는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되는 외래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프로그램도 마련되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은 문장을 우리말로 바꾸는 퀴즈를 통해, ‘누리소통망’, ‘언급’과 같은 적절한 우리말 표현을 배우고 일상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는 다짐을 했다. 이러한 활동들은 우리말을 더욱 풍요롭게 사용하고 우리말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에 참여한 한 방문객은 “처음에는 아이들을 위한 행사라고 생각했지만, 예상보다 훨씬 다양한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흥미로운 프로그램들이 많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특히 올림픽공원이라는 좋은 위치에서 열린 덕분에 행사 참여 후 가볍게 산책까지 즐길 수 있어 만족도가 높았다고 전했다. <우리말 가꿈이>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이번 한글날 기념행사는 단순히 우리말을 배우는 것을 넘어,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20대 청년들의 뜨거운 열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이번 행사는 2025년 10월 9일 단 하루로 마무리되었지만,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도 10월 한 달간 다양한 형태의 기념행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한글날을 기념하고 우리말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일상 속에서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조속히 형성되기를 기대해 본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임윤아 rmftmftkfka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