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특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이 운영되지만, 역사 현장의 깊은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계승하기 위한 노력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더욱 알리고, 단순 관광을 넘어선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2025년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과 궁궐을 엮어 역사적 맥락을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예약 일정은 8월 21일(9월 예약), 9월 25일(10월 예약), 10월 16일(11월 예약)이며, 네이버 예약을 통해 오전 11시부터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다. 회당 참가 인원은 25명(1인당 최대 4명)으로 제한되며,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약(02-738-4001)도 가능하다.
이번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단순한 유적 탐방을 넘어,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깊이 있게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특히 2025년 9월 초 진행된 ‘순종황제 능행길’ 여정은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조선과 대한제국 왕릉 문화를 비교하고 근대 전환기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구리 동구릉은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해 9기의 왕릉이 모여 있어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을 자랑한다. 이곳에서는 해설사를 통해 능역 구조, 제향의 의미, 정치적 배경 등이 상세히 설명되었으며, 특히 표석의 기원과 송시열의 역할, 전서체로 표석을 새기게 된 역사적 배경 등이 흥미롭게 제시되었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으로 이어지는 ‘순종황제 능행길’에서는 대한제국의 황제 순종의 삶과 시대적 상황을 되짚어볼 수 있었다.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을 통해 제사 횟수가 축소되고, 한식 대신 청명에 제사를 지내게 된 역사적 변화 과정이 설명되었다. 이러한 제사의 연속성은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봉분을 억새로 덮은 유래와 그 의미, 추존왕의 능과 신도비·표석의 변화, 그리고 헌종과 두 왕비가 함께 모셔진 삼연릉의 독특한 조성 방식 등은 왕릉 제도의 변화와 당시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이번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역사 유적을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그 안에 담긴 이야기와 당시의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미래 세대가 역사를 기억하고 이어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참여자들은 해설사의 안내를 받으며 석물의 의미를 확인하고 사진을 남기는 등 깊이 있는 경험을 했다. 어린 참가자가 역사학자를 꿈꾸며 문화유산을 지키고 싶다는 포부를 밝힌 사례는, 이 프로그램이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교육적 효과까지 거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의 아름다움과 함께 그 뒤에 담긴 역사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를 되새기는 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