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방 소멸 위기가 관광 분야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관광 콘텐츠 개발과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 구축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역 곳곳에서는 매력적인 행사가 연이어 개최되며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며, 지역이 가진 관광 서비스의 문제점을 스스로 발굴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 우수 사례로 확산함으로써 지역 관광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과거 중앙 정부 주도의 일률적인 관광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 현장의 주도적인 역량을 강화하여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체계 전환의 일환이다.
이 사업의 대표적인 사례로 영덕문화관광재단이 추진하는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프로젝트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관광객 유치를 위해 영덕 블루로드의 매력을 재조명하고, 액티비티 체험과 웰니스 체험을 결합한 가성비 높은 맞춤형 여행 상품을 선보인다.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다양한 체험 코스는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며 지역을 다시 찾게 하는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완주문화재단은 지역 주민들의 일상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미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단순 방문에서 머무는 관광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이처럼 영덕군과 완주군을 포함한 총 6개 지역(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이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에 선정되어, 각 지역의 고유한 특색을 살린 문화 콘텐츠 개발 및 확산에 힘쓰고 있다.
특히, 군산문화관광재단이 추진한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 복합문화공간 조성 사업은 지역 주도형 관광의 성공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다. 20년간 폐쇄되었던 옛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지역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중심지로 재탄생시킨 이 공간은 군산의 복고적인 매력을 강화하며 지역 정체성을 되살리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지난 30일 진행된 개관 행사에는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방문하여 옛 추억을 되새기고 새로운 문화 공간을 만끽했다. 1층은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했으며, 2층에는 휴식 공간, 독립영화 상영관, 대관 회의실 등이 마련되어 군산 내항을 조망하며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옥상에서는 과거 어부들의 일상을 담은 공연, 희망 종이비행기 날리기 등 다채로운 개관 행사가 펼쳐졌다.
이처럼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은 지역 고유의 자원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관광 콘텐츠 개발과 더불어, 과거의 유산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노력을 통해 지역 관광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관광객 유치를 넘어, 지역의 문화적 변화를 체감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과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우리는 대한민국 곳곳에서 각 지역의 고유한 색깔을 담은 매력적인 공간과 체험으로 변화된 관광 서비스를 직접 경험하며 지역 문화의 가치를 향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