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청년들이 겪는 정체성 탐색의 어려움과 문화적 욕구 충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취향을 발견하고 이를 타인과 공유하며 성장할 기회가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열린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이 행사는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며, 청년들이 자신을 탐색하고 성장할 수 있는 다층적인 공간을 제공했다. 1층 ‘탐색의 방’에서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발견하는 시간을 가졌다.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로운 방식으로 진행된 자기 탐색 과정은 청년들이 오롯이 자신의 경험에 집중하고 나만의 문화 취향을 수집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어서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고민을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다른 사람이 작성한 답변을 받아보는 방식으로 서로의 경험을 공유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와 같은 질문에 대한 타인의 답변을 마주하며, 자신만이 힘든 것이 아니라는 안도감을 얻고 낯선 이의 조언에서 진심과 무게를 느낄 수 있었다. 이는 청년들이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적인 활동으로 연결하고 타인과 나눌 수 있는 장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참여하여 자신의 취미를 공유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청년들이 정책을 제안하고 투표를 통해 의제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경험하며,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즉석에서 제안하는 등 정책 소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출판계 현직자와의 토크콘서트에서는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가 공유되었고, 이는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에게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시간이 되었다. 이러한 현직자와의 만남은 청년들의 진로 탐색과 직업적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청년들의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경험은 청년 정책이 청년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를 아우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청년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