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가 0.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내년에는 1.8%로 대폭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지난 7월 전망보다 소폭 상향된 수치로, 한국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낸다. 기획재정부는 국제통화기금이 지난 10월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은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이 향상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IMF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 조치로 인한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 등의 과정에서 경제 주체들이 양호한 적응력을 보여준 점,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하여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0.2%p 상향한 3.2%로 예측했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한국 경제의 경우,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1%p 올려 0.9%로 제시했으며, 내년에는 1.8%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부터는 잠재 성장 수준에 맞는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IMF는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을 1.6%로 수정했으며, 내년 성장률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1.6%로 예측했다.
주요 선진국 중 미국의 성장률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씩 상향 조정되어 각각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0.1%p 높여 4.2%로, 내년 성장률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4.0%로 예측했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으로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시키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와 4.2%를 유지했다.
글로벌 물가 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 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이뤄진다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