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허용 등과 맞물려 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인종 차별적 혐오 발언과 허무맹랑한 괴담 유포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국가의 품격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경제 활성화의 주요 동력이 되어야 할 관광 산업의 근간을 흔들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저하시키는 ‘저질적인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12차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 같은 문제점을 명확히 지적하며, 해외 관광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일체의 선동 행위를 철저히 단속하고 인종 차별적 혐오를 근절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서둘러 마련할 것을 관계 부처에 강력히 주문했다.
대통령은 “최근 인종 차별이나 또는 혐오 행위들이 너무 많아지는 것 같다”는 우려를 표하며, 특히 사흘 전부터 시행된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한시적 무비자 입국 조치가 내수 활성화와 경제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에서, 특정 국가 및 국민을 겨냥한 비상식적이고 허무맹랑한 괴담과 혐오 발언의 무차별적인 유포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는 수백만 원의 소비를 통해 국가 경제에 크게 기여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벌어지는 행위로, 수출 증진을 위해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하는 상황에서 관광객 유치를 통한 경제 효과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대통령은 비판했다. 그는 “관광객이 1000만 명이 더 들어오면 그 엄청난 수출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감사하고 권장하며 환영해도 모자랄 판에 혐오 발언, 증오, 욕설, 행패 등은 세계 문화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스스로 훼손하는 행태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대통령은 이러한 문화적이지 못하고 국격을 훼손하는 저질적인 행위들을 결코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안팎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수많은 역경을 헤쳐온 국민들의 위대한 저력을 믿는다고 밝혔다. 또한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국민과 함께 더 나은 삶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이러한 대통령의 지시는 해외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방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