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기존 한류 현상에 새로운 차원을 더하고 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인기를 넘어, 한국 문화가 글로벌 시장과 어떻게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특히, 원작에 대한 집착 없이 극강의 소통 능력을 발휘한 캐릭터 디자인과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들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서사는 국내외 관객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활용하여 비서구 문화가 가진 장벽을 낮추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케데헌’이 등장하기까지, 한국 대중문화의 해외 확산을 일컫는 ‘한류’는 그동안 주로 K팝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한계를 완전히 극복하지 못한 채 팬덤의 영역에 머무르는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케데헌’은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 양식을 통해 이러한 장벽을 낮추거나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그림으로 표현된 캐릭터들은 인종주의적 복잡함 없이 전 세계 시청자의 공감을 얻기 쉬웠으며, 이는 코스프레와 같은 팬 활동으로 이어지기도 용이했다. 실제로 현재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진행할 정도로 케이팝 문화 속 캐릭터 문화가 발전한 상황에서, ‘케데헌’의 캐릭터들은 세계관을 구축하며 글로벌 케이팝 무대에 데뷔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낳고 있다.
더 나아가, ‘케데헌’은 북미의 한인 2세 원작자 및 제작진이 참여하여 한국 문화의 오랜 무당 서사와 최신 유행하는 K팝을 결합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과거 디즈니의 가족용 뮤지컬 영화와 비교되며, 반복적인 자아 발견 이야기나 개인 성장형 모험 스토리를 넘어, 인간과 공동체를 중시하는 ‘케데헌’만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세계관을 제시한다. 이러한 서사는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될 수 있는 개방된 구조를 지니며, 동시대적으로는 헌터스 팀이 세계를 투어하며 로컬 귀신들과 싸우는 스토리를 통해 다양한 로컬 버전의 콘텐츠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가능성과 더불어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일깨운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북미 한인 2세 제작자들의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이 녹아들어, 글로벌 시장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중재(mediation)’가 가능했던 것이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세계사를 한국인의 경험으로 품을 수 있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가 한인 디아스포라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케데헌’은 이처럼 한류가 또 다른 세계로 나아가는 새로운 문이 열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