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현재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얼어붙은 경제 상황 속에서 자영업자들은 하루하루 생존을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 예측 불가능한 전쟁, 지정학적 불안정, 고물가, 고금리, 청년 실업,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등은 개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산적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거시적 어려움은 전 국민의 정신건강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최근 발표된 자살률 통계는 이러한 현실을 방증하며 모두의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 학생들은 입시와 취업 준비에 지쳐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어가고 있으며, 어렵게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예측성이 떨어지는 사회 속에서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작은 자극에도 짜증과 분노가 쉽게 폭발하는 모습은 오늘날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일반적인 모습처럼 비춰지기도 한다. 또한, 노인들은 신체적 질병, 경제적 어려움, 정서적 고립감 속에서 사회로부터 점점 소외되고 있으며, 생산만이 미덕으로 여겨지는 사회 구조 속에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 속에 갇힌 듯한 답답함을 사회 전반에 드리우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조차 사치로 여기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도 우리는 잠시 숨을 고르고 우리 자신을 객관적으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은 이미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 문화 강국이자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 K-pop, K-drama, K-food는 세계인의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었고, BTS,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과 ‘오징어게임’ 등은 한국 문화를 세계 중심 무대로 이끌었다. 이러한 문화적 성공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오랜 시간 축적된 창의성, 끈기, 노력의 결실이다. 경제적으로도 대한민국은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다방면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해외에서는 대한민국의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에 놀라움을 표하며, 밤늦은 시간에도 거리를 활보할 수 있고 여성들도 큰 불안 없이 거리를 다닐 수 있다는 사실에 경탄한다. 카페에 노트북이나 핸드폰을 두고 자리를 비워도 되는 나라는 다른 나라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우리는 이러한 평범함이 얼마나 특별한 것인지를 잊고 살아왔다. 이처럼 물질적 풍요는 이루었으나, 정서적으로는 더 불안하고 고립되었으며 쉽게 지쳐버리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 현실은 어쩌면 너무 열심히, 너무 오랜 시간 앞만 보고 달려온 대가일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이 아니라, 우리가 나아가야 할 삶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잠시 여유를 갖고 마음을 회복하는 일이다.
우리는 이미 역사 속에서 수많은 위기를 극복해낸 저력을 증명했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산업화를 이루어냈고, 국민들의 건강한 공분은 독재를 넘어 민주화를 성취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전후의 찢어지는 가난 속에서도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고 모든 것을 희생하여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낸 부모들의 헌신은 우리의 끈기와 저력, 즉 ‘희망의 유전자’가 단순한 운이 아니라 우리 민족 속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우리는 이 어려운 현실 앞에서 주저앉을 것인지, 아니면 수많은 위기를 이겨낸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것인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야 한다. 답은 명확하다. 우리는 이미 수없이 해냈고, 앞으로도 할 수 있다. 우리가 맞서야 할 것은 외부의 위협만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속에 품은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부정적인 생각이다.
새 정부는 특정 지역이나 집단의 정부가 아닌, 우리 모두의 정부, 우리 모두의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 많은 국민들이 변화와 혁신을 기대하는 만큼, 정부는 이 땅을 지켜온 국민의 희생과 열정을 기억하고, 우리가 가진 열정과 에너지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이 가진 창의성, 근면성, 공동체 정신은 지금 이 사회를 다시 한번 도약시킬 소중한 자산이다. 정부와 대통령은 국민을 믿고,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할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희망의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일이 지금 가장 필요한 일이다. 앞으로도 많은 난관이 예상되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고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옆 사람을 살피고, 지쳐 있는 누군가를 일으켜 세우고, 또 누군가의 손에 의지해 일어설 수 있을 때, 비로소 건강한 사회가 만들어질 수 있다. 우리 속에 간직한 희망의 유전자는 오랜 고난과 좌절 속에서도 살아남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가슴 속에 뜨겁게 살아 숨 쉬고 있다. 이제는 그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