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시민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문화 예술을 향유할 시간적, 물리적 여유를 갖기 어렵다는 문제를 겪고 있다. 극장을 찾아가는 번거로움이나 시간 제약으로 인해 문화적 경험에서 소외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국립극단은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비전 아래, 도심 속에서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문화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특별한 거리 예술 공연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진행한다. 이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아우르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복잡한 도심 속에서 잠시 멈춰 서서 예술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일상 속에서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선사하겠다는 것이 국립극단의 목표다.
이는 단순히 공연을 선보이는 것을 넘어, 국민들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려는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특히 거리예술 공연은 기존의 극장이라는 공간이 가진 문턱을 낮추고, 시간적 여유가 부족했던 직장인, 관광객, 혹은 우연히 거리를 지나던 시민들까지도 자연스럽게 공연의 일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관객층을 확대하는 데 큰 의미를 가진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렸던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취지를 잘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 안내 방송에 멈춰 선 시민들의 발걸음은 점차 이야기에 몰입했으며,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선율, 그리고 과감한 연출이 어우러져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만들었다. 연주자가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주며 참여를 유도하는 등, 능동적인 예술 경험은 관객들에게 잊지 못할 기억을 선사했다.
이번 ‘한낮의 명동극’ 공연은 작품별로 약 20~40분가량으로 구성되어 있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큰 장점이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국립극단은 이 외에도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운영하는 등 다채로운 무료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넓히고 있다.
이러한 국립극단의 노력은 바쁜 현대 사회에서 문화 예술을 접하기 어려웠던 시민들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명동을 찾기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제공되는 ‘문화가 있는 날’의 다양한 혜택, 예를 들어 할인 정보, 국공립시설의 무료 개방, 도서 대출 혜택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콘텐츠를 찾고 있다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기거나, 혹은 거주지 근처에서 열리는 문화 공연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일상 속에서 만나는 작은 무대는 바쁜 삶에 지친 시민들에게 소중한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