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패키지의 작은 글씨로 인해 소비자들의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염색약과 같이 필수적인 정보를 꼼꼼히 확인해야 하는 제품의 경우, 복잡하고 작은 글자로 표기된 상세 정보는 소비자들에게 불편함을 안겨왔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소비자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화장품 e-라벨’ 사업을 확대하고 나섰다.
‘화장품 e-라벨’은 제품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로 제공하는 새로운 정책이다. 기존의 작은 글씨로 가득했던 패키지 대신, QR코드를 통해 모바일로 화장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자주 찾는 필수 정보를 확대된 글씨로 편리하게 읽을 수 있으며, 안전 정보, 사용법, 성분 등 추가적인 세부 정보는 QR코드를 스캔하여 휴대폰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소비자에게 정보를 쉽게 제공하는 것을 넘어,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포장지 사용량을 줄여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격적인 시행에 앞서,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거쳐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1차 시범 사업에서는 특정 브랜드 6개사의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을 포함하여 13개사 76개 품목으로 대상이 확대되었다. 이처럼 점진적인 확대는 소비자들의 정책 수용도를 높이고,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도 예정되어 있어 정보 접근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 e-라벨’ 도입은 소비자들이 화장품의 필수 정보를 더욱 명확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선택의 신뢰도를 높이고 잠재적인 피부 트러블이나 부작용을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시범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화장품 e-라벨’이 전면 시행된다면, 화장품 정보 확인의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소비자 편의 증진과 지속 가능한 소비 문화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