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명인의 갑작스러운 사망은 우리 사회에 깊은 슬픔을 안겼으며, SNS 상에서는 고인을 추모하는 동시에 자살 충동을 느끼는 한 팬의 글에 많은 이들이 안타까움과 함께 따뜻한 위로와 상담을 권유하는 댓글을 달았다. 이는 주변의 작은 관심과 적절한 개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사건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정부는 자살률을 획기적으로 낮추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담은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발표하며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섰다.
이 전략 발표의 배경에는 한국 사회가 직면한 심각한 자살 문제에 대한 깊은 고민이 담겨 있다. 자살은 단순히 개인의 불행을 넘어 사회 전체의 책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 아래,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지난 9월 11일, 자살 예방 주간을 맞아 서울 용산역에서 ‘2025 같이 살자, 같생 서포터즈 박람회’를 개최하며 자살 예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알리는 데 힘썼다.
이번 박람회는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같생 서포터즈’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여, 무거운 주제인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데 집중했다. 특히 ‘온정(溫情) 109’ 부스에서는 자살 예방 상담 전화 109와 SNS 상담 창구 ‘마들랜’을 적극 홍보했다. 109는 24시간 운영되는 전문 상담 전화로, 누구나 부담 없이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마들랜’은 SNS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편하게 상담받을 수 있는 채널이다. 또한, 박람회에서는 자살 시도자의 사후 대응 서비스와 심리부검과 같은 개념들을 퀴즈와 게임으로 풀어내며 참여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특히 이번 박람회를 통해 ‘심리부검’이라는 개념이 주목받았다. 심리부검은 고인이 왜 자살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유족과의 면담 및 유서 등 기록을 검토하고, 사망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는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심리부검 담당자에 따르면, 심리부검은 자살자의 가족, 동료, 연인, 친구 등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사망 전 6개월간의 행적에 대한 보고가 가능해야 하며, 사별 기간은 3개월에서 3년 이내로 제한된다. 구조화된 도구(K-PAC)를 활용한 2~3시간의 면담 방식으로 진행되며, 참여 비용은 없다. 이 과정에서 유족은 심리 정서 평가를 받고 평가 결과서를 제공받으며, 면담 완료 후 1주일 뒤에는 원격 체크, 1개월 후에는 애도 지원금(2025년 기준 30만 원/건)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심리부검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간 보고서 및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자료, 정책 개발, 자살 예방 시행 계획 등에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과 더불어, 지난 9월 12일 정부는 제9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통해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은 2024년 인구 10만 명당 28.3명 수준인 자살률을 2034년까지 17.0명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자살 시도자뿐만 아니라 유족을 포함한 고위험군 집중 관리와 기관 간 연계 체계 구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심의·의결했으며, 내년도 관련 예산을 708억 원으로 대폭 증액할 계획이다.
‘죽고 싶다’는 말 속에는 ‘살고 싶다’는 마음과 ‘도와달라’는 간절함이 함께 담겨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2025 같이 살자, 같생 서포터즈 박람회’와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 발표는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다. 죽음의 원인뿐만 아니라 남겨진 이들의 아픔까지 보듬는 심리부검이 더욱 널리 알려지고 필요한 사람들에게 온전히 닿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더 이상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는 건강한 사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