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국에서 외면받던 문화가 해외에서 먼저 주목받으며 다시 자국으로 돌아오는 ‘문화 역수입’ 현상이 한국 문화계의 과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단순히 인기 흐름의 반전을 넘어, 한국 문화가 지닌 본질적 가치와 정체성을 스스로 재확인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문화 역수입의 대표적인 사례로 아르헨티나의 탱고와 일본의 우키요에를 들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탱고는 19세기 말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하층민 사이에서 탄생한 춤으로, 초기에는 저속한 오락으로 치부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초 프랑스 파리의 상류층이 탱고의 관능적 리듬과 감정을 발견하면서 상황은 반전되었다. 유럽에서 예술로 승화된 후 자국에서 재평가된 탱고는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며 아르헨티나 문화유산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일본의 우키요에 역시 19세기 일본 내에서는 일상적인 인쇄물에 불과했지만, 프랑스 파리 만국박람회를 통해 유럽 인상파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면서 ‘예술’로 재발견되었다. 이후 일본 내에서도 우키요에에 대한 체계적인 보존과 연구, 전시가 활발해졌고, 일본은 ‘자포니즘’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예술사에 자신을 각인시켰다.
한국에서도 판소리, 막걸리, 그리고 최근의 K-팝과 드라마 등에서 유사한 흐름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동남아, 중남미 등지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는 한국 고유의 정서와 가족주의, 즉 ‘K-신파’적 감수성을 전면에 내세워 해외 시청자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감성 중심의 한국형 정서 서사’로 불리는 이 작품은 한국인들이 간직해 온 ‘감정의 DNA’를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권과 중남미권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것은 스토리와 플롯이 주는 공명의 소구력이 컸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문화 역수입 현상은 한국 사회 전반에 흐르는 ‘외부로부터의 평가를 통해 가치를 확인하려는 심리’를 보여주기도 한다.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고 인기를 얻은 후에야 한국 사회는 ‘한류’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를 국가 브랜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는 문화적 자기 확인 방식이기도 하며, 자국 문화에 대한 확신이 부족할 때 외부의 찬사를 통해 그 가치를 재확인하려는 경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때로는 자국 문화에 대한 집단적 콤플렉스나 자신감 부족이 이러한 현상의 밑바탕에 작용하기도 한다. ‘우리 것’을 스스로 인정하지 못하고 외부 자극을 통해서야 비로소 가치를 깨닫는 현상은 한국 근현대사에서 형성된 복합적인 심리가 작용한 결과로 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문화는 외연의 확장만으로는 지속되지 않는다. 순환과 회귀의 과정, 그리고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정체성의 재구성이 중요하다. 문화 역수입은 이러한 순환의 한 국면을 보여주며, 문화의 미래는 되돌아온 문화를 어떻게 맞이하고 수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문화는 순환할 때 비로소 살아있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언제든지 재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문화를 해외로 ‘입양’ 보내지 않고, 가치를 미리 알아보고 우리 안에서 제대로 키워나가는 것이다.
◆ 정길화 동국대 한류융합학술원장은 MBC 교양 PD 출신으로 ‘인간시대’, ‘PD수첩’ 등을 연출했으며, ‘중남미 한류 팬덤 연구’로 언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MBC 중남미지사장 겸 특파원을 거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장을 역임한 후 현재 동국대 한류융합학술원장으로서 K-콘텐츠와 한류 정책을 연구하며 ‘공감 한류’ 전파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