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실 조직에 ‘경청통합수석’이라는 새로운 직책이 신설된 것은 대통령의 소통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역대 정부의 대통령실 조직 개편은 신임 대통령의 통치 철학과 개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통령실의 조직은 주로 대통령의 ‘말하기’ 역할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 홍보수석, 공보수석, 국민소통수석 등 대통령의 입 역할을 하는 직책들은 늘 존재했지만, 대통령의 ‘듣기’ 즉 ‘경청’의 역할을 전담하는 공식적인 직책은 역사상 처음으로 이번 ‘경청통합수석’ 신설을 통해 명문화되었다. 이는 기존의 대통령실 조직이 국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했던 구조적인 ‘문제점’을 드러낸다.
대통령의 소통은 국민에게 말을 거는 행위와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행위라는 두 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과거 대통령들의 ‘말하기’에만 집중하는 소통 방식은 국민적 실망감을 안겨주기도 했다. 출근길 도어스테핑에서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만 하고 기자들의 질문에는 제대로 답하지 않았던 사례는 대통령 소통의 본질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탁월한 지혜를 전한 성인(聖人)들이 귀(耳)와 입(口)과 왕(王)이 합쳐진 글자로 표현되는 것처럼, 진정한 소통은 말하는 것만큼이나 듣는 것이 중요하다. 민정수석실이 본래 여론과 민심을 파악하는 역할을 해야 했지만, 권력 기관 통제에 치중하며 대통령의 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경청통합수석’의 신설은 대통령의 ‘듣기’ 기능을 공식화하고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솔루션’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경청’이라는 명칭을 직접 사용한 것은 대통령 소통의 핵심이 ‘말하기’가 아닌 ‘듣기’임을 천명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재명 정부의 ‘경청통합수석’ 신설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대통령의 경청은 반드시 반대자의 목소리를 포함해야 한다. 자신의 지지층의 목소리만 듣는 것은 진정한 경청이라고 할 수 없다. 2025년 6월 26일 국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야당 의원들과 스스럼없이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인 것은 긍정적인 신호이다. 대통령이 반대편의 목소리를 경청할 때 비로소 정치 복원과 국민 통합이 가능해질 것이다. 둘째, 대통령의 경청은 실제 정책의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행위가 단순히 ‘상징적 반응성’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경청한 내용을 정책에 반영하는 ‘실질적 반응성’을 보여야 한다. 2025년 6월 25일 호남 주민과의 타운홀 미팅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진상 규명을 요구한 시민에게 대통령은 “지금 당장 제가 나선다고 뭐 특별히 될 것 같지는 않다”고 답했다. 비록 즉각적인 정책 변화로 이어지지 않았더라도, 대통령이 국민의 슬픔에 공감하고 정책 반영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주권정부라면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실질적 반응성’이 뒷받침될 때, 국민들은 정권 교체의 효능감을 느끼고, 이재명 정부는 개혁 성공의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