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계 자산의 부동산 편중 현상이 심화되면서 노후 대비 자산 관리의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보유 자산의 75%가 부동산에 치우쳐 있고 65세 이상 고령 세대의 경우 그 비중이 80~90%에 달하는 상황은 잠재적 위험 요소를 안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부동산 가격 하락 시 노후 생활의 불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구당 순자산은 구매력평가환율로 계산했을 때 62만 달러(약 8억 4800만 원)로 일본의 52만 2000달러(약 7억 1400만 원)보다 많다. 시장환율로 계산한 순자산 역시 44만 3000달러(약 6억 6000만원)로 일본의 42만 1000달러(약 5억 7600만원)를 상회한다. 하지만 이러한 통계적 수치에도 불구하고 자산 구성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 가계 자산의 60~70%를 금융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부동산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이 문제다.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일시적인 부유함을 보여줄 뿐, 실질적인 금융 안전망 구축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일본의 사례다. 수십 년간 자본 축적을 시작하고 선진국에 먼저 진입한 일본조차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불황을 겪으며 부동산 가격 하락을 경험했다. 우리나라 역시 비슷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는 점에서 부동산 가격의 장기적 하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남한의 토지 자산 규모는 땅 넓이가 약 4배인 일본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는 한국의 땅 한 평 가격이 일본의 네 평 가격과 맞먹는다는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 1980년대 후반 일본의 극심했던 부동산 버블 붕괴를 기억하는 전문가의 시각에서 볼 때, 이는 매우 경계해야 할 현상이다. 과거 일본의 택지 지가지수가 1991년 290에서 2012년 102까지 급락했던 경험은 부동산 자산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노후 대비 자산 관리의 핵심 원칙은 자산의 분산화이다.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는 “갖고 있는 재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다면 부동산의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려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퇴직 무렵에는 선진국 수준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중을 최소한 반반으로 맞추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것이다. 더불어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는 행위는 더욱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는 투자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므로, 재산이 한 곳에 집중될 경우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동산에 대한 맹목적인 신화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안목으로 금융자산을 포함한 다각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 불안한 노후를 대비하는 현실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