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어린이집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식중독 사고는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급식 시설의 위생 관리는 그 어느 곳보다 철저해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소비기한 경과 제품 사용, 보존식 미비, 급식 시설 위생 불량 등 다양한 위반 사례가 적발되고 있습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오는 13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어린이집 3,800여 곳을 대상으로 위생관리 실태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하며, 식중독 예방에 총력을 기울입니다.
이번 점검은 이미 올해 상반기에 전국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6,536곳에 대한 점검을 진행한 바 있으며, 이번 추가 점검을 통해 총 1만 300여 곳에 대한 전수 점검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상반기 점검에서도 식품위생법 위반 업체 11곳이 적발되어 관할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하는 등 어린이집 급식 위생 관리에 대한 관리 강화의 필요성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습니다.
점검의 주요 내용은 소비기한이 경과한 제품의 사용 및 보관 여부, 법적으로 규정된 보존식의 제대로 된 보관 여부, 그리고 식품 자체의 위생 상태와 조리실 등 급식 시설 전반의 위생 관리 상태입니다. 단순히 눈으로 확인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조리된 식품과 급식에 사용되는 조리 도구에 대해서는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거 검사도 병행하여 진행됩니다. 이는 잠재적인 식중독 발생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더불어 식중독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어린이집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도 강화됩니다. 올바른 손 씻기 방법 교육은 물론,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노로바이러스 환자의 구토물 처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 감염병 확산 가능성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식약처는 이번 집중 점검을 통해 적발된 위반 사항에 대해 철저한 행정처분을 실시하고, 앞으로도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급식이 제공될 수 있도록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 대한 지속적인 위생 점검과 식중독 예방 교육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어린들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급식 위생 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실질적인 개선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