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이 겪는 문화적 고립감과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이라는 특별한 행사가 개최되어 주목받았다. 이 행사는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며, 청년들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문화 사용법을 탐색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행사의 첫 시작은 ‘탐색의 방’이었다. 이곳에서 청년들은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의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발견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잊고 지내기 쉬운 자신만의 문화 취향을 수집하는 과정이었다. 각 질문의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과 ‘야구’, ‘일러스트’, ‘서점’ 등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선택지로 구성되어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자신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왔다. 짧은 체험 후에는 청량한 슬러시 음료가 제공되어 여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문화 향유의 즐거움을 더했다.
이어서 ‘고민 전당포’ 코너에서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자신의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다. 참가자들은 하나의 질문이 적힌 종이에 자신의 생각을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대신 동일한 질문에 대한 다른 사람의 답변이 담긴 종이를 받았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자신의 경험을 답하며 의욕 상실을 극복하고자 했던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참가자는 자신의 생각을 손바닥 크기의 종이에 가득 채웠다. 다른 사람의 답변으로는 ‘직장 내 인간관계’로 인해 의욕이 저하되고 있음을 고백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낯선 이의 고민을 마주하며, 참가자는 자신만이 힘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서 묘한 안도감을 느꼈다. 짧은 문장 하나에도 담긴 진심과 무게는 곧 나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왔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 활동으로 연결하는 생생한 현장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부스를 마련하여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정책 제안 온라인 창구인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는 청년들이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투표를 거쳐 의제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청년 재테크 교육’ 정책 아이디어가 즉석에서 메모지에 작성되었으며, 다양한 배경의 청년들의 의견을 살펴보며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를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책을 좋아하는 참가자는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라는 토크콘서트에 참석하여 민음사 마케팅팀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준 작가로부터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었다.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이야기들은 책을 좋아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숨죽여 듣게 될 만큼 흥미로웠으며, 이러한 현직자와의 만남이 청년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했다.
결론적으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경험은 더욱 큰 의미를 지녔다. 이 행사를 통해 청년 정책이 단순히 복지를 넘어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포괄할 수 있음을 몸소 경험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되기를 기대하며, 이러한 기회들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진정한 힘을 얻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