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0%대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7월 예상치보다 0.1%포인트 높인 0.9%로 상향 조정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이는 7월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한 결과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은 우리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복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이번 발표는 기획재정부가 국제통화기금이 지난 10월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IMF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또한 상향 조정하며 긍정적인 기조를 보였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7월보다 0.2%포인트 높은 3.2%로 예측했으며, 내년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긍정적인 전망은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IMF는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역시 지난 전망보다 0.1%포인트 높은 1.6%로 수정했으며, 내년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1.6%를 예측했다. 특히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0.1%포인트씩 상향 조정한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7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높여 4.2%, 내년은 기존과 동일한 4.0%로 전망했다.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이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의 부정적인 영향을 희석시키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와 4.2%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긍정적 전망과 맥을 같이한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반면,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 경제가 당면한 성장률 둔화 문제를 극복하고 긍정적인 전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내외적인 불확실성 요소를 면밀히 관리하고 적극적인 구조개혁 노력을 병행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