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운영에서 대통령의 소통 방식은 늘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그러나 과거 정부의 소통 방식은 ‘말하기’에 치중한 나머지 국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한다는 비판을 면치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한 듯, 새 정부는 역사상 처음으로 ‘경청통합수석’이라는 새로운 직책을 신설하며 대통령의 ‘듣는’ 역할, 즉 ‘경청(敬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는 단순한 명칭 변경을 넘어, 대통령의 통치 철학과 개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조직 개편으로 해석된다.
과거 역대 정부에서 대통령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은 주로 ‘홍보수석’이나 ‘국민소통수석’이 담당해왔다. 이러한 명칭의 변화는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었지만, 정작 대통령이 국민의 목소리를 얼마나 듣고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해결하지는 못했다. 대통령의 소통은 국민에게 말을 거는 행위와 더불어 국민의 말을 듣는 행위가 결합된 쌍방향 과정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전 정부에서는 ‘말하는’ 측면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지난 정부의 출근길 도어스테핑은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만 할 뿐, 기자들의 질문에는 귀 기울이지 않아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이는 훌륭한 지혜를 전한 성인(聖人)의 한자 풀이에서 ‘귀(耳)’와 ‘입(口)’이 합쳐진 것처럼, 진정한 소통은 듣는 것에서 시작됨을 시사한다.
대통령실 내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귀’의 역할을 해야 할 민정수석실은, 그동안 권력 기관 통제에 치중하며 여론과 민심 파악이라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렇듯 기존 방식의 한계 속에서 ‘경청통합수석’의 신설은 대통령의 ‘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새로운 창구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새 정부가 ‘말하기’보다 ‘듣기’에 방점을 찍으며 경청하는 국정 운영을 실천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천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새 정부의 ‘경청통합수석’ 신설은 대통령이 국민의 말을 경청한다는 것의 구체적인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첫째, 대통령의 경청은 자신의 편에 서지 않은 반대자의 목소리까지도 기꺼이 듣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6월 26일 국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야당 의원들과 스스럼없이 악수하고 대화를 나눈 장면은, 이러한 열린 자세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다. 반대편의 목소리를 경청할 때 진정한 정치 복원과 국민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대통령의 경청은 단순한 제스처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정책의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 정치적 계산에 의한 ‘상징적 반응성’이 아닌, 경청한 내용을 정책에 반영하는 ‘실질적 반응성’이 동반될 때 국민들은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 지난 6월 25일 호남 지역 타운홀 미팅에서 한 시민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을 때, 이재명 대통령은 “지금 당장 제가 나선다고 뭐 특별히 될 것 같지는 않다”며 수사 조사 기관의 결과를 기다려보라고 답했다. 참사로 가족을 잃은 유족에게는 대통령의 공감과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위안이 될 수 있다. 모든 민원을 정책에 반영할 수는 없겠지만, 국민주권정부라는 이름에 걸맞게 노력하는 자세는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이재명 정부의 ‘경청통합수석’ 신설은 소통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시사한다. 대통령의 경청이 ‘상징적 반응성’을 넘어 ‘실질적 반응성’으로 이어질 때, 국민들은 정권 교체의 효능감을 느끼고 이는 결국 국민적 지지로 이어져 개혁 성공의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