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환을 위한 필수 조건이 간과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단순히 AI 기술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혁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로그가 없는 웹페이지를 일만 년을 운영한들, 그 서비스는 조금도 좋아지지 않는다”며 AI 전환의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로그’ 시스템의 부재를 꼽았다.
‘로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의 기록을 의미한다. 이는 배의 항해일지인 ‘로그북’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IT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로그인,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발생 등 다양한 사건들을 순서대로 기록하는 ‘로그시스템’으로 발전했다. 시스템 로그, 애플리케이션 로그, 보안 로그 등 다양한 종류의 로그는 시스템 운영, 특정 프로그램의 이벤트 추적, 보안 사건 기록 등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현행 공공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의 상당수가 이러한 필수적인 ‘로그’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다양한 불편을 겪고 있다. 어떤 메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없어 웹사이트 개편 시에도 사용자 편의를 반영하기 어렵다. 또한,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리거나 오류가 발생해도 이를 파악하고 개선할 방법이 전무하다.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중 불편함을 느끼고 이탈하더라도 그 원인을 알 수 없어 문제 해결이 요원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누적되어 공공서비스 이용 경험을 저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장한다. AI가 제대로 작동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쌓여야 하며, 이 데이터는 기계가 읽을 수 있고 통합될 수 있는 형태여야 한다. 박 의장은 공무원들이 AI 비서를 활용하여 낮에 작업한 내용을 기반으로 밤새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부서 간 시너지 창출을 제안받는 등 혁신적인 업무 방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회의록을 통해 업무 지시, 책임자, 보고일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캘린더에 연동하여 효율적인 업무 관리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AI 활용의 전제 조건은 바로 ‘일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데이터가 쌓이는 시스템’ 구축이다.
이를 위해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업무 환경 구축과 더불어, 업무 수행 시 자연스럽게 데이터가 축적되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 박 의장은 AI 전환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 클라우드 활용의 필요성 인지, 그리고 무엇보다 ‘더 스마트하게 일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그’가 제대로 기록되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아무리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도 서비스 개선이나 AI 활용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자료제공 :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