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처럼, 우리 사회도 급격한 변화의 물결 속에 익숙한 것들이 잊혀져가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어린 시절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했을 법한 ‘우표 수집’이라는 취미가 이제는 생소해져 버린 시대,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과거의 찬란했던 위상을 잃어버린 우표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그 저변 확대를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어린 시절의 추억을 자극하는 구체적인 경험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 연휴, 옷장을 정리하던 한 주무관은 책장 뒤편에서 초등학생 시절 자신이 우표를 모아 만든 책받침을 발견했다. 1990년대, ‘우표 수집’은 아이들에게도 자연스러운 취미로 여겨졌던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당시 기념우표 발행일이면 우체국 앞에 새벽부터 줄을 서는 진풍경이 벌어졌을 정도로 우표의 인기는 대단했다고 한다. 이는 마치 최근 몇 년간 유행했던 캐릭터 스티커 수집 열풍과 비견될 만한 당시 우표의 높은 위상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하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손으로 쓴 편지가 점차 사라지고, 이에 따라 우표를 접할 기회와 우표 수집가를 찾아보기가 어려워졌다. 이는 우편 문화의 변화와 디지털 소통의 확산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표 수집은 여전히 충분히 매력적인 취미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으며, 매년 새롭게 발행되는 다채로운 디자인의 기념우표는 수집하는 즐거움을 더한다. 또한, 국내 우표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할 경우 해외 발행 우표로 시야를 넓혀 무한한 확장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은 우표 수집의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이다.
우표는 그 특성에 따라 ‘보통우표’와 ‘기념우표’로 구분된다. ‘보통우표’는 우편요금 납부를 주된 목적으로 하며, 소진 시 지속적으로 발행되는 반면, ‘기념우표’는 특정 사건이나 인물, 문화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정해진 발행량과 기간으로 인해 희소성을 지닌다. 대한민국 기념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10~20회 가량 발행되며, 2025년에는 총 21종의 발행이 계획되어 있다. 최근 5월 8일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사랑스러운 아기’를 주제로 한 기념우표가 발행되기도 하였다.
더 나아가,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 우정청에서도 지역의 특색을 담은 기념우표를 기획·제작하며 우표의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지난해 11월,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력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한 소중한 결과물로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태백우체국에서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양구군에서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 등은 해당 지역의 아름다움을 담아내며 단순한 수집품을 넘어 지역 홍보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매력과 가능성을 지닌 우표가 과거의 위상을 잃어버린 현실은 안타까운 일이다. 한때 모두의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다시금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매력적인 취미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