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이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을 세계 무대에 선보인다. 9월 3일부터 28일까지 4주간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을 주제로,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총 9개 작품을 23회에 걸쳐 선보인다. 이는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다양한 축제 속에서 국립극장이 한국 창극을 세계적인 음악극의 반열에 올리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담고 있다.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우리나라 창극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국립창극단을 주축으로 한 이번 축제는 4주간 해외 초청작 3편, 국내 초청작 2편, 그리고 국립극장 제작 공연 4편으로 구성되어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랐다. <심청>은 고전소설 심청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되, 기존의 효심만을 강조하는 틀에서 벗어나 억압받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했다. 2017년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 연출가가 극본과 연출을 맡아, 전통 판소리의 깊이는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각으로 심청을 그려내며 관객들의 호평을 이끌어냈다.
특히 이번 축제는 해외 관객들에게도 한국 창극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홍콩에서 온 단체 관광객들은 <죽림애전기> 공연을 관람하며 한국 문화관광의 한 축을 담당했다. 중국 월극을 기반으로 한 <죽림애전기>는 가면을 쓴 배우들이 노래, 춤, 연기, 무술을 결합한 역동적인 공연으로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 작품은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이번 축제를 통해 국내에 첫선을 보였다.
이와 함께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은 조선 말, 자신의 이름으로 살아가고자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에 도전했던 여성 정수정의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그려냈다.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시대에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을 극복하고 홀로서기를 시도하는 정수정의 이야기는 당시 여성들의 애환을 담아내며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죽림애전기>를 관람하며 작품이 가정과 국가라는 두 가지 측면을 잘 표현하고 있음을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이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의 장점을 흡수하여 한국 문화를 전 세계로 확산시키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한국의 문화 콘텐츠 접근성이 뛰어나 외국인들도 부담 없이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세계 음악극 축제>가 내년에는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번째 주제를 시작으로, 향후 다양한 해외 작품 초청과 국내외 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의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극장은 축제 기간 동안 예매 관객들에게 ‘부루마블’ 판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즐길 거리를 마련하여 축제의 재미를 더하고 있다.